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벤처 '엑시트 가뭄' 장기화… M&A·IPO 출구 막혀 생태계 위기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2025.04.08 (화) 07:26

2
4

벤처 투자업계가 M&A·IPO 침체로 자금 회수 어려움에 직면하면서 생태계 전반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 고금리와 정책 불확실성이 출구 전략을 막고 있다는 지적이다.

벤처 '엑시트 가뭄' 장기화… M&A·IPO 출구 막혀 생태계 위기 / TokenPost Ai

벤처 투자업계가 고금리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그리고 규제 불확실성이라는 삼중고에 직면하면서 스타트업의 엑시트 전략이 흔들리고 있다. 2021년 IPO 붐 이후 침체 국면에 빠진 인수합병(M&A) 및 상장 시장은 좀처럼 반등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이는 벤처 자금 회수의 출구 전략 자체를 위협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투자사인 톰베스트 벤처스의 매니징 디렉터 돈 버틀러(Don Butler)는 최근 기고를 통해 "지난 2020년 이후 기록적인 벤처 자금이 스타트업에 집행됐지만, 과도한 자금 공급에 비해 엑시트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장기간 누적된 대형 스타트업들의 상장 정체와 저조한 M&A 실적은 시장 전반에 구조적 부담을 키우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상장 기준이 과거보다 대폭 상향됐다는 것이다. 이전에는 연간 반복 매출(ARR)이 1억 5,000만~2억 달러(약 2,160억~2,880억 원) 수준이면 IPO가 가능했지만, 현재는 최소 4억 달러(약 5,760억 원) 규모가 요구된다는 게 벤처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여기에 더해 최근 수년간 이어진 고금리 여파로 기업 인수에 나서는 사모펀드와 대기업들도 비용 효율성을 우선시하면서 보수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

이 같은 엑시트 부진은 단기 수익만의 문제가 아니다. 벤처 생태계를 구성하는 핵심 참여자인 ‘리미티드 파트너(LP)’들은 펀드 매니저들의 성과를 엑시트 실적을 통해 판단하기 때문에, 회수 흐름이 막히면 중장기 투자 유입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 자금공급이 줄면 유망 스타트업의 성장 속도뿐 아니라 혁신 자체도 둔화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걱정이다.

일부 업계는 올해 들어 친기업적 기조를 선언한 새로운 행정부 출범에 기대를 걸었으나, 최근 관세 정책 강화와 이에 따른 공급망 충격 등으로 또 다른 유동성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다. 한편, 전임 행정부 시절 과도한 인수 규제와의 단절은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되지만, 지금은 정책 자체의 예측 가능성이 떨어졌다는 점에서 기업 계산이 더 어려워졌다는 목소리가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의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벤처 업계는 금리 인하 기조로의 전환 가능성에 집중하고 있다. 만약 고물가와 경기 둔화 압력이 미국 연방준비제도 등을 자극해 금리를 낮춘다면, 이는 M&A 시장 회복뿐 아니라 부진한 주택 시장 등 실물 경기 전반에도 활력을 줄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특히 인수합병 시 레버리지를 적극 활용하는 사모펀드에는 상당한 호재가 될 전망이다.

결국 이 같은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환경에서는 오직 최고의 실행력과 시장성을 갖춘 스타트업 일부만이 성공적인 엑시트를 기대할 수밖에 없다. 시장 참여자들에게는 신중하면서도 유연한 전략 설정이 더욱 중요해진 시점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2

추천

4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4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1mini

12:53

등급 아이콘

Slowpoke82

12:31

등급 아이콘

사계절

10:12

등급 아이콘

달돌달돌

09:37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4.08 12:53:58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4.08 10:12:4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