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7만 7,000달러대로 가격이 급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새 미국 관세 정책이 금융 시장 전반에 불확실성을 불러일으키며 투자 심리에 타격을 준 결과다. 이 같은 매도세는 미국 국채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며 30년 만기 수익률을 4.98%까지 끌어올렸다. 금리 급등은 인플레이션과 국가 부채에 대한 우려를 다시 부각시키며 전통 자산과 암호화폐 시장 모두를 압박하고 있다.
만약 비트코인 가격이 7만 4,000달러 이하로 떨어진다면, 약 4억 7,600만 달러(약 6,953억 원) 규모의 롱포지션 청산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반대로, 가격이 7만 8,000달러 이상으로 반등할 경우에는 쇼트 포지션 보유자들이 최대 9억 8,200만 달러(약 1조 4,347억 원)에 달하는 손실을 입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금리 급등의 배경으로는 트럼프 정부의 새로운 대외 관세 부과 조치가 지목된다. 전문가들은 해당 조치가 시장 전반에 체계적 리스크를 유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증권사 비앙코 리서치의 짐 비앙코(Jim Bianco)는 “이번 채권 시장의 이상 현상은 단순한 금리 인상이 아니라 대규모 청산에 의한 비정상적 움직임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1982년 금리 폭등기와 유사한 상황이라며 일부 기관의 강제 청산 가능성에 주목했다.
시장 분석 플랫폼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현재 비트코인은 민감한 기술적 지지선 부근에 머물고 있다. 이 지지선이 무너지면 연쇄적인 강제 청산 사태가 벌어질 수 있으며, 그 여파는 비트코인 가격뿐 아니라 암호화폐 시장 전체의 유동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일부 분석가는 이번 하락장을 매수 기회로 보고 있다. 비트겟(Bitget) 리서치의 수석 애널리스트 라이언 리(Ryan Lee)는 “시장 혼란이 단기에 그치고 친(親)암호화폐 정책이 지속된다면, 올해 말 비트코인 가격이 9만 5,000~10만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향후 시가총액이 다시 3조 달러(약 4,380조 원)를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비트코인은 7만 7,670달러 수준에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 기준 2% 하락세를 보이는 중이다. 시가총액은 약 1조 5,400억 달러(약 2,248조 원)를 기록 중이다. 시장은 당분간 트럼프 정부의 경제 정책 변화와 그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방향성을 가늠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