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워런 미국 상원의원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시장 조작 혐의로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혼란스러운 관세 정책이 금융 시장과 암호화폐 자산에 충격을 준 가운데, 워런 의원은 그 배후에 의도적인 내부자 이익 챙기기 목적이 있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워런 의원은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월가 지지자들을 위해 의도적으로 관세 정책을 뒤집은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며, 독립적인 조사 착수를 공식 요청했다. 특히 그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예고 없이 105%에서 125%로 급격히 인상하고, 동시에 일부 국가에 대해 90일간 관세 유예를 부여한 점을 지적했다. 그는 이 조치가 갑작스러운 시장 변동성을 유도해 ‘저점 매수’를 가능하게 했다고 주장했다.
시장 내 반응도 분분하다. 관세 일시 중단 소식이 전해진 이후 비트코인과 같은 주요 암호화폐는 일시 상승세를 보였지만,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채 다시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워런은 이를 명확한 ‘투기적 전략’이라고 평가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이미 실물 경기와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원에서도 비판의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스티븐 호스포드 의원은 하원 청문회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 변경을 신랄하게 꼬집으며 “이것이 시장 조작이 아니라면 도대체 무엇이냐”고 질문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조치가 결국 특정 억만장자들에게 이득을 줬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경제안보 분야의 전문가들도 우려를 표했다. 전 국가안보보좌관 존 볼턴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지식재산권 분쟁을 빌미로 다른 동맹국들까지 동시에 자극하며 무역 정책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단기적, 표면적인 접근이 미국의 글로벌 경쟁력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미국 경제는 제조업 지표 둔화와 일자리 감소 우려 속에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다. 엘리자베스 워런 의원은 이런 상황 속에서의 계속된 ‘관세 게임’은 경제 전체를 위기로 몰고 갈 수 있다며, 공화당 의원들도 이 사안에 대해 책임감 있게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
워런 의원의 주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정면 충돌하면서, 향후 미국 의회의 대응과 공정거래 당국의 조사 여부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 시장이 다시 한 번 정치 변수에 크게 흔들릴 가능성이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