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무역전쟁 직격탄… 애플, 시총 7750억 달러 증발하며 1위 자리 마이크로소프트에 내줘

작성자 이미지
손정환 기자
1
1

中 관세 리스크에 애플 주가 급락, 시총 7750억 달러 증발하며 글로벌 기업 1위 자리 마이크로소프트에 넘겼다. 미중 무역 긴장 고조로 기술주 전반 약세 나타났다.

무역전쟁 직격탄… 애플, 시총 7750억 달러 증발하며 1위 자리 마이크로소프트에 내줘 / TokenPost Ai

애플(AAPL)이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상장기업의 자리를 마이크로소프트(MSFT)에 내줬다. 이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적용이 임박하면서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심리가 냉각된 데 따른 결과다.

미국 동부시간 4월 8일, 애플 주가는 장중 5% 하락하며 시가총액이 2조6천억 달러(약 3,796조 원)을 밑돌았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2조6,500억 달러(약 3,873조 원)의 시장가치를 유지하면서 글로벌 시총 1위를 탈환했다.

이번 급락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34% 인상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본격화됐다. 애플은 중국에서 전체 제품의 약 90%를 조립하는 만큼 관세 리스크에 직접 노출돼 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이후 불과 4거래일 만에 애플 주가는 20% 이상 하락했다. 이 여파로 애플의 시총은 약 7750억 달러(약 1,131조 원) 증발했다. 이는 테슬라의 전체 시가총액보다 더 큰 규모다.

중국 정부도 이에 대응해 미국산 제품에 동일한 34%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하면서 무역 긴장이 격화됐다. 트럼프는 이후 추가로 50% 관세 인상 가능성을 거론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애플은 지난 트럼프 행정부 당시 미중 무역전쟁에서도 일정 부분 예외를 인정받았지만, 이번에는 예외 조항이 적용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매그니피션트 세븐'으로 불리는 기술 대형주 중 최근 일주일 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테슬라는 21.5% 하락했으며, 아마존(AMZN), 엔비디아(NVDA), 메타(META)는 12~13% 하락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GOOG)과 마이크로소프트도 각각 7.7%와 7.2% 하락해 전반적인 기술주 약세 흐름을 반영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관세 정책이 미국 기술 기업 전반에 대한 구조적인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애플처럼 글로벌 제조망이 중국에 집중돼 있는 경우 그 영향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무역 정책이 지속될 경우, 첨단기술 시장 전반의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1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4.09 19:53:2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