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자체 암호화폐 'BNB'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타깃이 됐다. SEC는 바이낸스의 BNB 판매가 증권법 위반인지 여부를 조사 중이다.
지난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해당 사안을 잘 아는 관계자를 인용해 "SEC는 바이낸스가 2017년 자체 암호화폐 BNB를 발행·판매하는 과정에서 증권 규정을 어겼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바이낸스는 전 세계 1억2000만 명의 이용자를 보유한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다. 월 거래량은 수천억 달러에 달한다. BNB는 463억 달러 규모의 시총 5위 암호화폐로, 확장 중인 바이낸스 생태계의 핵심 요소이기도 하다.
보도에 따르면 익명을 요청한 관계자는 "SEC는 바이낸스가 5년 전 암호화폐공개(ICO, Initial Coin Offering)를 통해 판매한 BNB가 당국에 등록해야 하는 증권이었는지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ICO는 투자자에 신규 토큰을 판매하여 투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다.
바이낸스는 2017년 BNB 출시에 앞서 백서를 통해 관련 계획을 설명한 바 있다. 백서에 따르면 BNB 유통량은 2억 개이며 ICO를 통해 토큰 절반이 판매됐다. 창립팀에는 8000만 BNB가 할당됐다. 백서는 "ICO를 통해 조달한 자금의 85%를 바이낸스의 글로벌 거래소 구축 및 마케팅에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거래소는 BNB 이용 시 더 낮은 거래 수수료를 제공하고 계약 대금을 BNB로 지급하는 등 BNB 이용 활성화를 추진하기도 했다. ICO 참여를 제한하는 별도의 요건은 제시하지 않았다. 블룸버그는 "이와 관련된 세부 내용들이 SEC의 관할권을 결정 짓는 핵심적인 사안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SEC 조사와 관련해 거래소 측은 "규제 당국과의 지속적인 논의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 "바이낸스는 당국과 협력하고 있고, 당국이 정한 모든 기준에 부응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낸스, 리플 수순 밟나
SEC가 BNB를 증권으로 판단할 경우, 바이낸스를 '증권법 위반' 혐의로 기소할 수 있다.
앞서, SEC는 텔레그램, KIK, 블록원 등을 포함해 다수의 ICO 진행 개인 및 기업에 대한 소송을 제기했다. 지난 2020년 12월에는 시총 3위였던 XRP 발행업체 리플과 경영진 2명을 증권법 위반으로 기소했다. 소송은 현재까지도 진행 중이다.
SEC는 1946년 미국 대법원 판결에 근거하여 '투자계약(증권)'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해당 기준에 따르면 투자자가 BNB 구입을 통해 기업이나 프로젝트에 자금을 대면서 사업 주체의 노력에 따른 이익을 기대한 경우 BNB는 '증권'으로 간주될 수 있다.
관계자는 "결론이 나기까지 몇 달이 걸릴 수 있으며, 기소 단계까지 가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지만, 지난 4월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이 "사실상 모든 ICO는 증권이며 SEC 규제 대상이다"라고 발언한 만큼, 당국이 미증권 사실을 확정한 비트코인, 이더리움 외의 모든 암호화폐는 '증권'으로 간주될 위험이 남아있다.
바이낸스는 BNB의 증권 위험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BNB의 전체 명칭을 '바이낸스코인(Binance Coin)'에서 '빌드앤빌드(Build and Build)'로 변경했다. 이에 대해 거래소는 "블록체인의 탈중앙성과 커뮤니티 운영권 강화를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분기마다 거래소 이익의 20%에 상응하는 BNB를 사들인다는 백서 내용도 철회했다. 창펑 자오 바이낸스 CEO는 지난 2020년 블로그를 통해 "이같은 작업이 증권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법률 자문을 받았다"며 철회 이유를 설명한 바 있다.
◇내부 거래, 미국 자회사 개입도 의심
보도에 따르면 SEC는 BNB의 증권 여부뿐 아니라 내부 거래 조작 가능성과 2019년 설립된 미국 자회사 '바이낸스US' 개입 여부도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익명의 관계자는 "SEC는 바이낸스US의 시장 조성업체에 대한 창펑 자오 바이낸스 CEO의 소유 지분, 거래소의 브로커딜러 활동 여부 등을 확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바이낸스는 바이낸스와 바이낸스US가 별도의 법인이라는 사실을 강조했다. 바이낸스는 "미국 외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바이낸스US는 미국 이용자에 미국 규정 이행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거래소"라고 주장했다. 바이낸스US도 별도의 성명에서 "최고의 준법 수준을 유지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3조원대 자금세탁 의혹까지
2017년 상하이에서 시작된 바이낸스는 지난해부터 전 세계 규제 당국의 집중 타깃이 됐다. 미국에서도 SEC뿐 아니라 법무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국세청 등도 바이낸스를 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바이낸스는 특정 국가 등록 없이 운영을 지속하고 낮은 자금세탁방지 수준을 유지하다가 지난해 다수의 제재 조치가 가해지면서 뒤늦게 규제 이행을 시작했다. 바이낸스는 지난해 8월에야 신규 및 기존 사용자에게 신분증 제출을 의무화했다.
지난 6일 로이터는 '암호화폐 거대 기업 바이낸스는 어떻게 해커, 사기꾼, 마약 밀매자의 허브가 됐는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규제 이행을 거부한 5년 동안 바이낸스에서 막대한 자금세탁이 있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로이터는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는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 동안 해킹, 투자 사기, 불법 약품 판매 등과 관련된 23억5000만 달러(한화 약 3조원) 상당의 불법 자금의 세탁 채널로 작동했다"고 주장했다.
매체는 법정 기록, 법집행기관 성명, 분석 전문기업 2곳이 집계한 블록체인 데이터 등을 근거로 이같은 결과를 산출했다고 설명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도 2020년 보고서에서 "바이낸스가 2019년에만 7억7000만 달러의 범죄 관련 자금을 받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2020년 9월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는 슬로바키아에 위치한 소형 암호화폐 거래소 '이터베이스(Eterbase)'에서 약 54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탈취하고, 몇 시간 뒤 바이낸스에서 9분만에 십여 개의 계정을 생성해 자금을 세탁했다. 로버트 옥스트 이터베이스 공동 설립자도 "바이낸스가 계정 익명성을 허용했기 때문에 거래 주체가 누구인지 전혀 확인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뿐 아니라 바이낸스가 러시아 정부와 협력하고 있다는 점, 세계 최대 다크넷 시장 히드라에 플랫폼을 허용했었다는 점, 익명성 암호화폐 모네로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5월 기준 바이낸스는 일간 약 5000만 달러 상당의 모네로 거래를 처리했다.
패트릭 힐만 바이낸스 최고커뮤니케이션책임자(CCO)는 "로이터가 산출한 결과가 정확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바이낸스는 정교한 사이버 포렌식 팀을 구축하고 거래소 내 불법 활동을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법 집행 기관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