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저녁 9시 30분 미국 고용통계국이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 대비 8.3%를 기록했다. 7월 CPI에 이어 2개월 연속 하락했지만,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수준이 나오면서 증시와 암호화폐 시장이 모두 하락 전환했다.
CPI는 미국 전국 및 지역별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한 지수다. CPI 상승이 가계의 실질임금 감소를 의미하는 등 물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지표가 된다.
8월 CPI 전년 대비 상승률은 7월 기록(8.5%)보다 0.2%p 하락했지만 월가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8.0%)를 넘어섰다. 전월 대비 0.1% 하락을 예상한 시장 기대와 달리, 오히려 0.1%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에너지 가격은 5.0% 떨어졌지만, 식료품, 서비스 등 기타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에너지 등 경제 상황에 따라 물가변동이 큰 품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기 대비 6.3% 상승하며 전망치인 6.0%를 웃돌았다. 전월 대비 기록도 전망치(0.3%)보다 높은 0.6% 상승했다.
사진=CPI 표 / 출처 미국 고용통계국
CPI는 지난 6월 41년 최고치인 9.1%까지 급등했다가 지난달 8.5%로 꺾이면서 피크아웃(정적 찍고 하락) 기대를 높였다.
이번 8월 CPI 발표 직전까지 물가가 진정되고 긴축 강도가 완화될 것이라는 낙관론이 확산됐었다. 미국 내 휘발유 가격은 89일 연속 하락하며 2015년 이후 최장 기록을 세웠고, 러시아 천연가스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에너지뿐 아니라 부동산, 중고차 등 물가 주요 구성 항목의 가격 상승 속도가 둔화되면서 물가 상승 압력이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고, 내년 상반기 연준의 금리인상 근거도 약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조사한 기대인플레이션(1년 후 물가상승률)도 전월 6.2%에서 5.7%로 낮아졌다. 3년 기대인플레이션은 전월 3.2%에서 2.8%로 떨어지면서 2020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기도 했다.
이에 12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상승 움직임을 보였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71%, S&P 500지수는 0.06%, 나스닥 지수는 1.27% 상승하며 장을 마감했다. 미국 3대 지수는 4거래일 연속 동반 상승세를 연출했다.
13일 우리나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74% 오른 2449.54에 거래를 마쳤다. 삼성전자를 포함한 시총 10위권 대형주 모두 5% 가까이 급등했다. 원·달러 환율도 전 거래일 대비 7.2원 내린 달러당 1373.6원에 마감했다.
하지만 8월 CPI 하락폭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시장이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발표 직후 뉴욕채권시장에서 2년물 국채금리는 3.714% 올랐고, 뉴욕증시 3대 지수 선물이 약 2%대 하락폭을 보였다.
연휴 반등을 통해 2만2370달러선에 거래되던 비트코인은 CPI 발표 직후인 저녁 10시 10분 기준 전날 대비 3.87% 하락하며 2만1456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1720달러선을 되찾았던 이더리움은 6.75%가 빠지며 1627.41달러까지 밀렸다.
사진=암호화폐 시세 / 출처 토큰포스트마켓
오는 21~22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금리인상폭을 75bp로 변함 없이 가져갈 뿐 아니라 더 강도를 높일 가능성까지 나오고 있다. 저녁 7시 10분 기준 CME그룹의 ‘페드와치’에 따르면 빅스텝(50bp 금리인상) 가능성은 15%, 자이언트스텝(75bp 금리인상) 가능성은 85%로 제시됐었지만, 10시 10분 현재는 75bp 가능성은 86%, 100bp 가능성은 15%를 제시하고 있다.
앞서, 연준은 물가상승률 목표 수준이 2%인 점을 강조하면서 확실한 물가 진정 근거가 나올 때까지 강도 높은 긴축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거듭 강조했다. 무엇보다 시장이 연준의 ‘긴축’ 의지에 대한 의구심을 갖지 않도록 하겠다는 뜻을 확고히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