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칼럼] 블록체인과 핀테크가 이끄는 금융의 재편

2
3

블록체인과 핀테크의 결합이 신뢰 기반의 새로운 금융 질서를 만들며, 비트코인 ATM을 통해 디지털 금융이 일상으로 확산되고 있다.

셔터스톡

핀테크(FinTech)는 금융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모바일 뱅킹, 인공지능 투자 자문, 간편결제 등 기술 기반의 금융 서비스는 이제 우리 일상에 깊숙이 들어왔다. 여기에 블록체인 기술이 더해지며, 금융의 작동 방식은 보다 근본적인 변화를 맞고 있다.

신뢰를 기술로 구현한 블록체인

블록체인은 탈중앙화된 분산 원장 기술이다. 중앙기관 없이도 거래 기록을 안전하게 공유하고 검증할 수 있어, 기존 금융 시스템의 신뢰 구조를 근본부터 바꿔놓고 있다. 은행과 같은 기관이 전통적으로 맡아온 신뢰의 역할을, 블록체인은 수학적 알고리즘과 네트워크 합의를 통해 기술적으로 구현한다. 기록의 위·변조가 사실상 불가능한 구조는 금융 거래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새로운 금융 서비스의 기반이 되고 있다.

핀테크와의 융합: 디파이부터 비트코인 ATM까지

핀테크와 블록체인의 결합은 현실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다. 디파이는 중개기관 없이 예금, 대출, 자산 거래가 가능하며,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금융 거래의 자동화도 실현하고 있다. 운영 효율성 면에서도 큰 진전을 이뤘다.

특히 실생활과 가장 밀접한 사례 중 하나는 비트코인 ATM이다. 이용자들은 이를 통해 현금으로 비트코인을 구매하거나, 비트코인을 현금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 같은 접점은 블록체인을 기술이 아닌 '금융 서비스'로 체감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고 있다.

확산되는 비트코인 ATM, 글로벌 현황은

2024년 기준, 전 세계에 설치된 비트코인 ATM은 3만8,768대에 달한다. 이는 전년 대비 약 6% 증가한 수치다.

- 미국: 약 3만1,500대 설치, 전체의 81.3%를 차지하며 압도적 1위

- 캐나다: 약 2,900대

- 유럽 전체: 1,663대, 전체의 4.3% 수준

- 주요 운영사: Bitcoin Depot, CoinFlip, Genesis Coin 등

이 같은 통계는 암호화폐가 일상 속 결제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 사례로 본 사회적 파급력

- 엘살바도르: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한 엘살바도르는 전국에 215대의 비트코인 ATM을 설치했다. 관광지 엘 손테(El Zonte)에서는 상인과 관광객이 일상적으로 비트코인으로 커피를 사고 숙박비를 지불하는 등 실생활 결제가 활발하다.

- 미국 시카고: 저소득 지역 중심으로 ATM이 설치돼, 은행 계좌가 없는 이들도 디지털 금융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 이는 금융 포용성 확대 측면에서 의미 있는 변화다.

- 홍콩: 아시아 최대 비트코인 ATM 운영 지역 중 하나로, 홍콩 국제공항과 구룡역 등 주요 교통 허브에 설치돼 외국인 여행객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시장 성숙기 진입…업계 전문가들의 시선

Bitcoin Depot의 브랜든 민츠 CEO는 "비트코인 ATM 시장은 성숙기로 접어들고 있다"며 "일부 업체가 수익성 낮은 지역에서 철수하는 현상은 효율적인 운영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고 있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다윈KS가 유일하게 크립토 ATM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종명 대표는 "크립토 ATM은 블록체인과 AI 기반 비대면 핀테크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금융 플랫폼"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비대면 본인 인증(KYC) 후, ATM을 통해 외환을 현금으로 인출하거나, 선불카드 충전·디지털 지갑 보관 등이 가능한 '디지털 ATM & QR Pay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한국을 찾는 외국인과 금융 소외 계층 모두에게 접근성 높은 외환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 확대도 모색 중이다.

남은 과제와 제도적 과제

비트코인 ATM을 비롯한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존재한다. 대표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제도적 규제의 불명확성

  • 개인정보 보호 우려

  • 사기 및 불법 사용 가능성

이에 따라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트래블 룰(Travel Rule)' 등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보안 기술 고도화를 통해 제도권 안착을 도모하고 있다. KYC(실명 인증), AML(자금세탁 방지) 시스템 도입도 중요한 진전이다.

미래 금융의 청사진, 블록체인+핀테크

블록체인과 핀테크의 결합은 단순한 기술 혁신이 아니다. 금융의 구조와 철학 자체를 다시 설계하는 움직임이다.
‘신뢰의 기술적 구현’, ‘접근성의 민주화’, ‘탈중앙화 구조’는 금융 참여의 문턱을 낮추며, 모두가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

비트코인 ATM의 확산은 이러한 변화의 바로미터이자, 디지털 금융의 미래를 보여주는 창이다. 우리는 지금, 물리적 지갑이 아닌 블록체인 위에 자산과 신뢰를 저장하는 시대로 향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2

추천

3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4.11 20:01:5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5.04.11 15:26:21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