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유럽, 美 제치고 클라우드 네이티브 주도권 확보… 디지털 주권 시대 개막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2025.04.06 (일) 00:50

0
1

KubeCon Europe 2025가 미국 행사 규모를 넘어서며 유럽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주도권이 부상하고 있다. 유럽은 미국의 정치 불안 속에서 디지털 주권 강화와 기술 생태계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럽, 美 제치고 클라우드 네이티브 주도권 확보… 디지털 주권 시대 개막 / TokenPost Ai

유럽이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의 주도권을 잡으며 글로벌 디지털 주권 시대를 본격화하고 있다. 런던에서 열린 ‘KubeCon + CloudNativeCon Europe 2025’는 지금까지 중 가장 큰 규모의 행사로 기록됐으며, 미국에서 개최된 동종 행사 규모를 처음으로 넘어서는 이정표를 세웠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 성취만이 아니라 미국의 정치 불확실성 속에서 유럽 소프트웨어 산업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는 흐름과 맞물린다.

이번 행사에 참석한 많은 유럽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미국 고객들로부터 기존 클라우드 인프라를 유럽으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 체제에서 예측 불가능한 정책 환경, 디지털 규제 강화, 국방·보안 인사 경질 등으로 인해 미국 내 테크 기업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는 상황과 관련이 깊다.

이런 배경 속에서 유럽은 디지털 주권 강화를 위한 전략을 발 빠르게 전개하고 있다. 리눅스 재단의 NeoNephos 프로젝트는 유럽 주요국의 클라우드 주도권 확보를 뒷받침하는 핵심 이니셔티브다. 이 프로젝트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차세대 클라우드 인프라 및 서비스(IPCEI-CIS)'의 대표적 성과로, 오픈소스 생태계 중심의 기술 주도권 확보를 목표로 한다. 여기에 더해 유럽연합은 디지털 과세 체계를 개편하며 자국 시장에서 비즈니스를 하는 미국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규제 환경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도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의 확산은 멈추지 않고 있다. KubeCon 현장에서 소개된 각국 벤더들의 솔루션은 정치와 경제의 불확실성을 뛰어넘는 기술 혁신의 증거다. 특히 컨테이너 격리성 보강을 위한 Edera의 하이퍼바이저 기반 가상머신, Loft Labs의 가상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솔루션은 멀티테넌시 보안 니즈가 커지는 환경에 부응하고 있다. 동시에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Doctor Droid와 Kubiya의 기술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운영 자동화를 더욱 현실화하고 있다.

관측 기능의 혁신도 주목할 만하다. eBPF 기반으로 리눅스 커널에서 직접 시스템 동작을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 Groundcover, Metoro, Grafana Labs가 각각 차별화된 해법을 제시했다. 특히 Grafana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Beyla를 OpenTelemetry에 기부함으로써 업계 전반에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밖에도 Plural Labs는 수백 개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멀티클라우드 및 에지 환경에서 일관되게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Northflank는 인프라 중심이 아닌 워크로드 중심의 추상화 플랫폼을 바탕으로 개발자의 클라우드 배포 부담을 현저히 줄이고 있다.

KubeCon 런던 행사의 뜨거운 열기는 단순한 기술 축제를 넘어,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이 이제 유럽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는 흐름을 분명히 보여준다. 경제 중심축이 미국에서 유럽으로 옮겨가면서, 유럽은 산업 규제뿐 아니라 기술 생태계에서도 글로벌 리더십을 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미래는 이제 더 이상 미국 주도의 이야기가 아니다. 유럽의 기술 주권이 새로운 기준이 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WayneKIM

08:53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