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發 관세폭탄에 美 경기침체 61% 전망… 암호화폐도 흔들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2025.04.06 (일) 07:09

4
10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행정명령 이후 2025년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이 61%로 급등했다. 시장은 금리 인하 유도 가능성과 함께 암호화폐 등 위험자산 침체를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發 관세폭탄에 美 경기침체 61% 전망… 암호화폐도 흔들 / TokenPost AI

2025년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이 60%를 넘어섰다는 전망이 나왔다. 칼시(Kalshi) 예측시장 참가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서명한 ‘상호관세 행정명령’ 이후 이 같은 확률을 제시하며, 거시경제 전반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칼시는 미국 상무부의 기준에 따라 두 분기 연속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경기 침체로 간주한다. 이에 따라 현재 2025년 기준 경기 침체 가능성은 61%에 달하며, 이는 3월 20일 대비 두 배 가까이 급등한 수치다. 암호화폐 기반 예측시장인 폴리마켓(Polymarket)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오고 있어 시장 전반의 우려를 반영한다.

이번 공포의 발단이 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전격적인 관세 행정명령이다. 글로벌 국가에 일괄적으로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산 수입제품에 기존 관세를 매긴 파트너국에는 그에 상응하는 '보복성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는 내용이다. 이 행정명령 발표 이후 수일 만에 미국 증시는 5조 달러(약 7,300조 원) 이상의 주주 가치가 증발하며 대규모 투매가 발생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향후 더 심화된 무역전쟁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며, 이로 인해 암호화폐를 포함한 위험자산의 가격이 장기간 침체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 같은 우려 속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되풀이하고 있다. 그는 4월 3일 사회관계망을 통해 "현재 시장 조정은 불가피한 과정이며, 결국 미국 시장은 다시 급등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의도적으로 시장을 하락시켜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압박을 유도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자산운용사 모건크리크디지털의 공동창립자인 앤서니 팜플리아노는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 인하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 충격을 유도했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최근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가 올해 초 4.66%에서 4월 5일 기준 4.00%로 하락한 점을 근거로 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준비제도 의장 제롬 파월에게 단기 금리 인하를 요구하며, "지금이 금리를 인하할 절호의 기회"라는 입장을 재차 밝히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행보가 향후 암호화폐 시장에도 중대한 전환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4

추천

1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StarB

00:05

댓글 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4.06 10:47:4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5.04.06 09:21:3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릴라당

2025.04.06 08:43:2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낙뢰도

2025.04.06 08:31:1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