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폭탄'에 원유 6% 폭락…경기침체 공포 재점화

작성자 이미지
연합뉴스

2025.04.05 (토) 16:04

2
2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 관세 조치로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며 뉴욕유가가 하루 새 6% 넘게 급락했다. 산유국 증산 합의도 유가 하락에 기름을 부었다.

트럼프의 '관세 폭탄'에 원유 6% 폭락…경기침체 공포 재점화 / 연합뉴스

뉴욕유가가 하루 만에 6% 넘게 떨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국가에 10% 기본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된 탓이다. 투자자들은 원유를 대거 팔아치웠고, 여기에 산유국들의 증산 소식까지 더해지며 낙폭이 커졌다.

3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4.76달러(6.64%) 급락한 배럴당 66.9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브렌트유 6월물도 6.42% 빠져 배럴당 70.14달러로 떨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나라에 10% 기본 관세를 적용하고, 무역적자가 큰 약 60개국엔 상호관세까지 부과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갑작스럽고 강력한 관세 폭탄에 글로벌 경기 둔화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공포가 커지자 투자심리는 급격히 위축됐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나스닥지수도 6% 가까이 급락했다.

경기 침체가 오면 원유 수요도 줄어든다. 이 같은 전망은 원유 투매로 이어졌다. JP모건은 이번 조치로 미 관세율이 25%까지 오르고, 이것이 소비자물가를 2%포인트나 끌어올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회사는 미국이 올해 경기침체에 빠질 가능성도 높다고 봤다.

여기에 산유국들의 증산도 유가에 악영향을 줬다. OPEC+ 소속 8개 주요 산유국은 하루 산유량을 5월부터 41만1천 배럴 늘리기로 합의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은 "시장 상황에 따라 이 계획은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고 밝혔지만, 공급 증가 우려는 이미 시장에 반영됐다.

OPEC+는 총 22개 회원국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들은 2026년 말까지 하루 366만 배럴 감산 계획도 이어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2

추천

2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4.05 19:30:4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릴라당

2025.04.05 18:17:4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