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노동시장이 냉각 기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발표가 고용시장에 추가적인 충격을 예고하고 있다. 3월 기준 구인 건수는 720만 건으로, 한 달 전보다 감소했으며 이는 코로나19 이후 최저 수준이다. 미국 노동통계국(BLS)의 발표에 따르면 이는 시장 전망치였던 750만 건에도 미치지 못하는 결과였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기습적으로 발표한 ‘해방의 날(Liberation Day)’ 고율 관세 조치가 기업들의 채용 계획에 불확실성을 더하며, 상황을 더욱 불투명하게 만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대부분의 중국산 수입품에 145%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한다고 전격 발표해 시장에 충격을 줬다. 여기에 더해 연방정부 인력 감축과 이민 규제 강화 움직임까지 맞물리며 공급 측 인력 문제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고용시장이 약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고는 눈에 띄게 줄었다. 3월 해고 건수는 160만 건으로 전월보다 20만 건 감소했으며, 이는 기업들이 향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 속에서 기존 인력을 유지하려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로 인해 구직 한 명당 일자리 수는 거의 1대1 수준으로 내려앉아, 지난 4년 중 가장 낮은 고용 여건을 나타내게 됐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잇단 관세 발표가 '무역 정책에 대한 전반적 불확실성'을 키우며 채용을 위축시키고 있다고 진단한다. 인디드의 채용연구소 이코노미스트 코리 스타일은 "중국산에 대한 관세율이 고공행진을 유지하는 한, 기업들이 신규 고용을 중단하거나 축소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며 "여기에 연방 고용 삭감과 이민 통제로 인한 인력 부족 문제까지 겹치면 근시일 내 더 급격한 구인 감소세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웰스파고 증권의 경제학자 사라 하우스와 니콜 체르비 역시 “불확실한 성장 전망 속에서 노동시장은 균형을 잃기 쉬운 불안정한 상태이며, 작은 외부 충격에도 흔들릴 수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단기적으로 해고를 막고, 인력유지 전략을 자극할 수는 있지만, 장기적인 고용 창출에는 제약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따라서 노동시장의 향방은 향후 관세 정책과 이민 규제의 강화 수준에 따라 크게 요동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