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式 관세 폭탄, 美 경제 흔들…消費·금융시장 '비상'

작성자 이미지
손정환 기자

2025.04.02 (수) 07:42

0
1

트럼프 대통령의 '해방의 날' 관세 정책 발표를 앞두고 美 경제에 긴장이 고조됐으며, 소비 위축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됐다. 전문가들은 침체 우려와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까지 제기했다.

트럼프式 관세 폭탄, 美 경제 흔들…消費·금융시장 '비상' / TokenPost Ai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새로운 관세 정책이 발표를 앞두고 미국 경제 전반에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백악관은 이번 조치를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명명하며, 불공정한 외국 관세에 대해 보복하는 형태로 자국 제조업을 강하게 부흥시키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업계와 소비자 모두 단기적인 충격은 불가피하다고 우려하고 있으며, 금융시장 역시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보브 슈워츠는 “현재까지의 경제 지표는 침체 직전이라고 보긴 어렵지만, 하향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며 시장의 우려 수준이 올라가고 있음을 지적했다. 실제로 S&P 500 지수는 올해 들어 4% 이상 하락했고, 기술 종목 중심의 나스닥은 10% 가까이 떨어졌다. 주요 미국 기업들은 잇달아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했고, 제조업 지표는 3월 들어 뚜렷한 위축세를 보였다.

소비자 심리도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미시간대가 발표한 3월 조사에 따르면, 향후 1년 내 실업 증가를 우려하는 응답 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바클레이스 은행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조너선 밀러는 “서비스 소비가 줄기 시작한 것은 우려스러운 신호”라며, 이는 전반적인 소비 둔화로 이어져 1분기 GDP를 마이너스로 끌어내릴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침체’ 가능성과 동시에 또 다른 리스크인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응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현시점에서 미국은 1970년대와 같은 경기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상황은 아니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물가 상승률은 2% 수준에 근접해 있고, 실업률도 4.1%로 안정적인 수준”이라 강조했다. 하지만 보호무역주의 성향의 관세 조치가 소비자 가격에 영향을 줄 경우, 물가와 성장이 엇갈리는 복합적 상황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하다.

BMO 캐피털 마켓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스콧 앤더슨은 "수입 자동차에 부과되는 관세는 차량 가격을 수천 달러 인상시킬 수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중산층 소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현재 미국 소비자들은 경제적 불확실성에 흔들리고 있으며, 그럴수록 보호무역정책의 리스크는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번 ‘해방의 날’이 실제로 미국 제조업에 활기를 불어넣을지는 불투명하지만, 당장 눈앞의 충격은 확실히 감지되고 있다. 소비 침체, 기업의 실적 불안, 금융시장 변동성 등은 모두 이번 관세 조치가 글로벌 경제뿐 아니라 암호화폐 시장에도 파급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투자자들은 당분간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조치 여부에 따라 더욱 신중한 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달돌달돌

09:58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