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美 소비심리 소폭 회복…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 효과였나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0

미국 4월 소비자태도지수가 예비치보다 상승하며 소비심리가 소폭 개선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조치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美 소비심리 소폭 회복…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 효과였나 / TokenPost Ai

미국 소비자들의 경기 체감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보복 관세 정책에 ‘90일 유예’ 조치를 발표하면서 냉각되던 심리가 소폭 회복세를 보였다는 분석이다.

미시간대가 발표한 4월 소비자태도지수 최종치는 52.2로, 당초 예비치 50.8보다 상향 조정됐다. 이는 블룸버그와 월스트리트저널이 공동 집계한 경제학자 컨센서스를 웃돈 결과로, 소비심리가 예상보다 견조하다는 신호로도 해석된다. 다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여전히 32% 낮은 수준이며, 2022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이번 지표 변화의 배경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초 발표한 90일간의 *보복관세 중단* 조치가 자리한다. 대중 무역 압박 수단으로 추진된 보복관세가 일시 유예되자, 그동안 경제 불확실성에 시달리던 소비자들이 다소 안도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이는 여전히 불안정한 흐름 속에 나타난 일시적 회복이라는 평가도 존재한다.

미시간대 소비자 설문조사를 이끄는 조앤 수(Director Joanne Hsu)는 “소비자 심리는 여전히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이번 발표가 무역정책 전반에 대한 신뢰 회복으로 이어질 만큼의 안도감을 낳진 못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소비자들은 향후 1년간 물가 상승률을 6.5%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1981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미국 가계의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 역시 소비심리의 전반적 회복세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소비자 지출이 미국 경제의 70%를 차지하는 만큼, 현재와 같은 불확실성은 향후 경기 둔화를 예고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조앤 수는 “소득 증가에 대한 기대심리가 약화된 점이 가장 우려된다”며 “소득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소비의 강도도 약해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취임 이후 곧바로 무역 분야에서 연쇄적인 관세 정책 발표에 나섰으며, 이에 따른 경제적 파장을 두고 시장과 언론의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최근 90일 유예 조치는 그러한 불확실성의 일시적 완화 조치로 읽히지만, 향후 정책 방향에 따라 소비 심리는 재차 출렁일 가능성이 크다.

이번 소비자태도지수 결과는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 변화가 미국 내 소비자들의 인식과 기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소비자들이 느끼는 인플레이션 압력은 여전히 높고, 향후 실질 소득에 대한 비관적 인식도 지속되는 가운데, 정책 신뢰 회복 없이는 경기 회복세 또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경고가 나온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