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RWA 온체인] 토큰화 시장, 한 달 새 12% 성장…美 국채·주식이 성장 주도

작성자 이미지
김서린 기자
0
1

온체인 RWA 시장 규모는 211억4000만 달러로, 한 달 새 12% 증가했다. 미국 국채(+29%)와 상장 주식(+31%)이 성장을 주도했으며, 발행사와 네트워크의 확산도 이어지고 있다.

실물자산(Real-World Asset, RWA) 토큰화는 미국 국채, 금, 부동산, 주식 등 실물자산의 소유권이나 수익을 블록체인 상에서 디지털 토큰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뜻한다. 전통 금융과 온체인 생태계를 연결하는 핵심 고리로 주목받으며, 글로벌 자산 운용사와 핀테크 기업들의 진입이 활발해지고 있다. 전통 금융 자산의 블록체인 이전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토큰화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미국 국채, 금, 주식 등 주요 실물자산의 온체인 흐름을 자산군별로 짚어본다. [편집자주]


한 달 새 29% 증가한 미국 국채 토큰화 시장과 31% 급등한 상장 주식 토큰이 이번 주 RWA 시장 성장을 이끌었다.

RWA.xyz에 따르면 17일 기준 온체인 RWA 시장은 총 211억4000만 달러로, 한 달 전보다 12% 성장했다. 보유자 수는 9만6293명(+5.94%), 발행사는 181곳으로 집계됐다.

토큰화 자산 유형별 시장 규모 / RWZ.xyz

토큰화된 자산 중 '미국 국채(US Treasury Debt)'가 최대 토큰화 시장을 이루고 있다. 약 59억3900만 달러 규모로, 시장 점유율 55%를 기록 중이다. '민간 대출(Private Credit)'은 23억3850만 달러(22%), '원자재(Commodities)'는 14억130만 달러(13%)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기관 대안펀드(4.1%) ▲상장 주식(3.3%) ▲비미국 국채(1.3%) ▲회사채(0.15%) 등이 토큰화 시장을 구성하고 있다.

한 달 동안 가장 빠르게 성장한 부문은 상장 주식(+31%), 미국 국채(+29%), 비미국 국채(+15%) 순이다.

토큰화 자산 TOP 5

현재 시가총액 기준 토큰화 자산 상위 5개는 ▲비들(BUIDL, 블랙록·시큐리타이즈) ▲테더골드(XAUT, 테더) ▲팍소스 골드(PAXG, 팍소스) ▲벤지(BENJI, 프랭클린 템플턴) ▲유에스디와이(USDY, 온도) 순이다.

상위 3개는 미국 국채, 금으로 구성돼 있으며, 비들은 24억6987만 달러 규모로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 토큰화 자산의 56.1%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발행되고 있으며, ZKsync 에라(20.8%)와 스텔라(4.5%) 등이 뒤를 잇고 있다. 특히 알고랜드는 32.6%의 주간 성장률을 기록하며 강한 확장세를 보였다.

발행사별 점유율은 블랙록이 29.1%로 가장 높았으며, 팍소스(8.8%), 프랭클린 템플턴(8.3%), 테더 홀딩스(7.5%) 등이 주요 비중을 차지했다. 슈퍼스테이트 자산 신탁은 한 주간 점유율이 32.8% 증가하며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 중이다.

▶ 미국 국채

온체인에 토큰화된 미국 국채 및 현금성 자산의 총 규모는 59억4000만 달러로, 일주일 전보다 5.3%, 한 달 전보다 29% 증가했다. 현재 39종의 자산이 유통 중이며, 평균 만기 수익률(YTM)은 4.17%, 보유자 수는 1만7696명(-0.32%)이다.

대표 상품은 BUIDL(블랙록), BENJI(프랭클린 템플턴), USDY(온도) 등이 있다.

BUIDL 시가총액 24억6987만 달러 / 보유자 68명 / 이더리움, 솔라나 등
BENJI 시가총액 7억218만 달러 / 보유자 561명 / 이더리움, 스텔라 등
USDY 시가총액 5억8592만 달러 / 보유자 1만5061명 / 대상: 비미국 투자자

BUIDL은 미국 단기 국채 및 현금성 자산 기반의 기관 전용 펀드 토큰으로, 실시간 수익 반영과 멀티체인 지원이 특징이다. BENJI는 MMF 기반의 리테일 대상 펀드 지분 토큰으로, 미국 공모 투자신탁 구조를 따른다.

미 국채 토큰 주간 순유출입 그래프 / rwa.xyz

주간 순유입 상위는 비들(+3억400만 달러), JTRSY(+9400만 달러), USTB(+5200만 달러)이며 순유출은 USDY(-66만 달러), OUSG(-76만 달러), USYC(-3400만 달러) 순이다.

▶ 민간 대출

토큰화된 민간 대출은 기업이 온체인에서 자금을 빌리고, 투자자는 이자를 수취하는 구조다. 대출 실행부터 상환까지 전 과정은 신용 프로토콜이 관리한다.

현재 시장에서 실행 중인 대출 규모는 128억6000만 달러, 누적 대출 규모는 235억1000만 달러다. 지금까지 2551건의 대출이 집행됐고, 평균 연 수익률(APR)은 10.15% 수준이다.

대표 상품은 시럽 USDC, 버클리 스퀘어 등으로, 모두 조건부 참여가 가능한 대출 풀(Pool) 형태로 운영된다.

시럽 USDC(Maple) 이더리움 기반 USDC 대출 풀 / APR 8.25%
버클리 스퀘어(PACT) 앱토스 기반 대출 풀 / APR 64.70%
하이일드 담보 대출(Maple) USDC 기반 대출 풀 / APR 7.77%

프로토콜별 누적 대출 규모는 피겨(Figure)가 118억8400만 달러로 가장 크며, 트레이더블(Tradable)이 44억7400만 달러, 메이플(Maple)이 28억500만 달러로 뒤를 잇고 있다.

▶ 원자재

토큰화 원자재 시장의 시가총액은 14억 달러로, 전월 대비 12.75% 증가했다. 월간 전송량은 10억3000만 달러로 94.54% 급증했으며, 보유자 수는 6만7680명(-6.39%), 월간 활성 주소 수는 9187개로 31.47% 감소했다.

토큰화된 원자재 자산은 금(Gold) 기반 토큰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1위 토큰은 팍소스의 PAXG다. 시가총액 7억3993만 달러, 시장 점유율은 53.26%이다. 최근 한 달간 16.86% 성장했다.

2위는 테더홀딩스의 테더골드(XAUT)로, 시가총액 6억3118만 달러, 점유율 45.43%를 기록 중이다. 한 달 동안 8.42% 상승했다. 3위는 컴테크골드(Comtech Gold)로, 1129만 달러 규모이며 XDC 네트워크에서 발행된다.

전체의 99.11%가 이더리움에, 나머지는 ▲XDC(0.81%, Comtech Gold) ▲스텔라(0.08%, WisdomTree) 등에서 발행되고 있다.

▶ 기관 대안펀드

2025년 4월 기준, 토큰화된 대안펀드 시장의 총 규모는 4억3623만 달러로, 전월 대비 8.22% 증가했다.
활성 주소는 38개(+44.74%), 전체 보유자는 8420명(-0.23%)이다. 현재 온체인에 등록된 펀드는 총 17개다.

토큰화된 기관 펀드 중에서는 싱가포르 기반 '블록체인캐피털 디지털 벤처 펀드(BCAP)'가 1억4839만 달러로 가장 규모가 크며 스타트업 투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위는 미국 기반의 슈퍼스테이트 베이시스 트레이드 펀드(USCC)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며 시가총액은 9012만 달러다. 아폴로 다이버시파이드 크레딧 펀드(ACRED)는 대출 중심의 상품으로 시총은 6086만 달러 수준이다.

▶ 상장 주식

상장 주식 기반 토큰화 자산 시장 규모는 3억5222만 달러로, 한 달 새 31.5% 증가하며 토큰화 자산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월간 거래량은 2746만 달러로 전월 대비 9.36% 감소했다. 월간 활성 주소는 290명(+13%), 보유자는 1642명(-16.63%)이다.

블록체인별로 보면 알고랜드가 94.87%를 차지하며 상장 주식 기반 토큰화 자산의 주요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다. 그 외 노시스(3.06%), 이더리움(1.19%), 아비트럼(0.68%) 등에서도 일부 자산이 발행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토큰화 시장은 특정 자산과 발행사 중심의 집중 구조를 보이지만, 네트워크와 참여자의 다변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상장 주식, 민간 대출 등 일부 부문에서는 높은 성장률과 유동성 확대가 관찰되며, RWA의 온체인 확산은 점차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0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