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 관세 확대로 美 제조업 위축… 불확실성에 고용도 '주춤'

작성자 이미지
손정환 기자

2025.04.02 (수) 04:22

0
1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확대 정책이 미국 제조업 경기를 위축시키며 기업의 고용과 투자 결정에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다. ISM과 S&P 글로벌 제조업 지수는 전 부문 동반 둔화를 기록했다.

트럼프 관세 확대로 美 제조업 위축… 불확실성에 고용도 '주춤' / TokenPost Ai

트럼프 대통령이 제조업 육성을 목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관세 정책이 오히려 미국 제조업 전반에 불확실성을 초래하며 경기 위축 우려를 키우고 있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와 S&P 글로벌이 3월 발표한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에 따르면, 제조업 활동이 두 달간의 성장세를 끝내고 다시 위축 국면으로 들어섰다. 3월 PMI는 49%로, 기준치인 50%를 밑돌며 제조 활동이 수축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같은 하락은 생산, 신규 주문, 고용 등 전 부문에서 동반 둔화를 나타내며 관세에 따른 경영 환경 악화를 반영한다.

특히 공급망 관리자들 사이에서는 관세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불확실성*이 핵심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다. 내수 회복 기대감에 힘입어 제조업이 반등 조짐을 보이던 가운데 관세 확대 기조가 다시 긴장감을 불러온 것이다. ISM 보고서는 “생산과 신규 수주가 동반 약화됐고 고용 수요도 위축됐다”며 경영진이 향후 정책 방향을 가늠하지 못해 *신규 고용을 주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가격 상승과 재고 누적 증가도 우려스러운 신호다. 제조업체들은 관세 발효 전에 원자재를 미리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조달 단가를 끌어올리는 동시에 창고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S&P 글로벌의 크리스 윌리엄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정책이 명확하지 않아 기업들이 전방위적으로 비용 부담에 노출되고 있으며, 일부는 채용을 중단하는 등 방어적인 운영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고 전했다.

월스트리트 주요 기관들도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 웰스파고 경제팀은 “관세를 피하기 위한 사전 구매가 가격을 인위적으로 끌어올렸고, 이에 따라 수요가 위축되고 있다. 장기 불확실성이 기업 심리를 위축시키는 양상이 분명하다”고 분석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4월 2일로 예정된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을 앞두고 발표됐다. 당일 트럼프 대통령은 새로운 관세 정책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며, 향후 자동차, 전자 부품, 철강 등 주요 산업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그는 관세가 해외 수입을 억제하고 미국 내 생산 및 일자리를 늘릴 것이라 강조해왔지만, 업계에서는 그 효과보다 *예측 불가능한 정책 전개*가 전반적인 제조업 심리를 해치고 있다고 지적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정은 향후 주요 교역국과의 무역 협상에서도 중대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단기적 효과보다 중장기적인 산업 재편과 수요 계약 가능성에 주목하며, 이에 대한 분명한 커뮤니케이션 없이는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