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파키스탄, 암호화폐 정책 대전환… FATF 준수하는 규제안 도입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0

파키스탄 정부가 FATF 기준을 반영한 디지털 자산 규제안을 마련하며 암호화폐 산업 제도화에 박차를 가했다. 비트코인 채굴 계획은 물론, 창펑 자오를 정책 고문으로 영입하며 글로벌 역량도 강화했다.

파키스탄, 암호화폐 정책 대전환… FATF 준수하는 규제안 도입 / TokenPost AI

파키스탄 정부가 디지털 자산 규제 틀을 전면 개편하며 암호화폐 제도화에 본격 나섰다. 22일 현지 언론 엑스프레스 트리뷴에 따르면, 파키스탄 연방수사청(FIA)은 자금세탁방지 국제기구인 금융행동특별기구(FATF)의 권고사항을 반영한 디지털 자산 규제안을 제안했다.

FIA 디렉터 수메라 아잠은 이번 제도를 두고 “디지털 금융에 대한 파키스탄 정부의 시각이 바뀌는 결정적 전환점”이라며 “기술 발전과 국가 안보 사이의 균형을 모색한 역사적 정책”이라고 밝혔다. 이번 안은 입법 절차와 업계 의견 수렴을 거쳐 2026년부터 순차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움직임은 수년간 지속된 반(反)암호화폐 기조를 뒤엎는 급격한 변화다. 특히 2023년까지 파키스탄 고위 관리들은 FATF 가이드라인을 이유로 암호화폐 합법화를 전면 배제했으며, 전국적 사용금지까지 공론화됐었다.

그러나 2025년 들어 파이낸스부를 중심으로 입장이 선회됐다. 올해 2월 정부는 파키스탄 크립토 협의회(Pakistan Crypto Council)를 출범시키며, 암호화폐에 대한 명확한 규제 수립과 해외 자본 유입 유도를 추진하고 있다. 협의회 대표인 빌랄 빈 사키브는 “파키스탄은 젊고 웹3에 친숙한 인재가 많은 고성장 저비용 시장”이라며 “세계 암호화폐 산업 중심지로 성장할 훌륭한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또한 협의회는 잉여 전력을 활용한 비트코인(BTC) 채굴 계획까지 발표했다. 이는 국가 산업 저변 확대와 함께, 채굴 인프라 유치를 통해 파키스탄을 국제 암호화폐 채굴 거점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이어 지난 4월 7일에는 바이낸스 공동 창업자인 창펑 자오(Changpeng Zhao)를 자문역으로 위촉하며, 정책 설계 단계에 글로벌 전문성을 접목하기 위한 행보를 강화했다. 파키스탄 외무부는 창펑 자오의 역할이 암호화폐 산업 규범화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FATF 중심의 규제안은 암호화폐와 테러 자금 차단, 자금세탁 방지 및 사용자 신원 인증 의무를 명확히 설정한 만큼, 기존 비공식적·불법 시장을 양성화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일각에서는 파키스탄의 이런 변화가 친암호화폐 기조를 내세우는 미국 정부 정책과도 일정 부분 궤를 같이하는 흐름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