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지난 몇 주간 이어졌던 상승 채널에서 이탈하며 기술적으로 중요한 분기점에 접어들었다. 여전히 매수 세력이 완전히 돌아오지 않은 가운데, 단기적인 약세 흐름이 이어질 경우 추가 하락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일간 차트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00일 이동평균선인 8만8000달러(약 1억2,848만 원)를 하향 이탈했다. 이는 시장의 중장기 추세를 가늠하는 주요 지표로, 해당 지지선 이탈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최근 수 차례 8만8000달러에서 9만2000달러 구간에서의 저항에 부딪힌 뒤, 현재는 7만7000~7만8000달러(약 1억1,242만~1억1,388만 원)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간 아래에는 주요 수요대인 7만4000달러(약 1억797만 원)가 자리하고 있으며, 이 가격대마저 붕괴될 경우 6만8000달러(약 9,928만 원)까지 후퇴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또한 단기 흐름을 보여주는 4시간 봉 차트에서는 상승 추세선 하단을 강하게 이탈한 구조가 뚜렷하다. 이로 인해 대규모 청산이 발생했고, 시장에 공포가 확산됐다. 하락 후 7만4000달러선에서 반등했으나, 현재는 8만달러(약 1억1,680만 원) 저항선에서 재차 거절된 상태다. 이 과정에서 형성된 '낮은 고점'은 단기 트렌드가 매도 우위에 있음을 보여준다. 상대강도지수(RSI)가 과매도 구간에서 일부 회복세를 보이지만, 여전히 매수세가 추가 반등을 장악하지 못하면 하방 구조는 이어질 수밖에 없다.
온체인 데이터를 통해 시장의 내부 흐름을 살펴보면, 현재 비트코인을 거래하는 투자자들의 평균 실현 수익률을 나타내는 조정된 SOPR(aSOPR, 30일 지수이동평균 기준)은 1.1 수준을 유지 중이다. 이는 대부분의 보유자들이 여전히 수익 상태에서 매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해당 지표가 하향 추세를 이어가고 있어 전체 네트워크의 수익성이 점차 약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향후 aSOPR이 1 아래로 내려간다면 손실 매도 심리가 시장에 확산될 가능성을 의미하며, 이는 중단기적으로 추가 하락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이 다시 8만달러 이상을 회복하고, 나아가 8만2000~8만4000달러 구간을 지지선으로 되돌릴 수 없을 경우, 당분간은 매도세가 우세한 흐름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온체인 지표들이 심한 하락을 견디고 안정적인 바닥을 형성한다면 시장은 다시금 반등의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향후 며칠간의 가격 흐름과 온체인 반응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