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전 세계 대상 상호관세 정책이 비트코인(BTC) 가격에 상당한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암호화폐 시장이 이로 인해 큰 조정을 겪을 경우, 비트코인은 7만1,000달러(약 103억 7,000만 원) 선까지 밀릴 수 있다는 전망이다.
양적 분석 기반 디지털 자산 운용사 캐프리올 인베스트먼트(Capriole Investments)의 창립자 찰스 에드워즈(Charles Edwards)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관세 조치가 예상보다 강경하게 시행되면서 기업 심리 및 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기업들의 기대치를 보면 2000년, 2008년, 2022년과 같은 고위험 구간과 유사하다"고 말했다.
미국 필라델피아 연은(연방준비은행)의 기업 전망지수(BOS)는 연초 이후 처음으로 15를 하회했다. 이는 마지막 암호화폐 약세장의 바닥이었던 2022년 말과 유사한 수준으로, 당시 비트코인은 1만5,600달러까지 하락한 바 있다. 에드워즈는 이 지표가 종종 오차를 수반하긴 하지만, 현재처럼 높은 불확실성과 결합되었을 때는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비트코인 가격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직후 하루 만에 최대 8.5% 하락하며 급격히 반응했다. 반면, 같은 날 미국 증시 대표 지수인 S&P500은 0.7% 상승 마감해 대조를 보였다. 에드워즈는 비트코인에 있어 중요한 기술적 분기점은 9만1,000달러(약 132억 8,600만 원)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해당 가격대를 종가 기준으로 돌파할 경우 강한 상승 추세가 재확인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단기적으로 7만1,000달러 지지선에서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글로벌 유동성 증가가 암호화폐 시장의 반등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낙관론도 제기됐다. 연준이 긴축정책을 일부 완화하면서 미국 내 총통화(M2)의 유입이 임박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분석가 콜린 톡스 크립토(Colin Talks Crypto)는 최근 X(구 트위터)를 통해 "M2 공급이 대규모로 유입되는 시기가 곧 도래할 것"이라며, 이 같은 흐름이 비트코인 가격에 중요한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처럼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이 비트코인 시장에 단기적인 충격을 주는 한편, 유동성 환경 변화가 중장기 반등을 이끄는 구조가 전개될 가능성이 제기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