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파키스탄 정부는 자국 내 잉여 전력을 활용해 비트코인 채굴 및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운영에 나서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 같은 계획은 지난달 공식 출범한 '파키스탄 암호화폐 위원회(Pakistan Crypto Council)'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으며, 재무부 고문이자 위원회 최고책임자인 빌랄 빈 사킵(Bilal Bin Saqib)은 “이미 복수의 채굴 기업들과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파키스탄은 높은 전기요금과 태양광 등 대체 에너지 확장으로 인해 남는 전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고효율 산업인 채굴 및 데이터 인프라로 전환해 경제적 활용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사킵은 “전력 잉여가 발생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채굴 센터 입지를 확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파키스탄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과 암호화폐 친화 정책 기조에 발맞춰 블록체인 및 디지털 자산 기반 금융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킵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파키스탄은 더 이상 관망하지 않겠다”며 “블록체인 기반 금융의 선도국가가 되기 위해 해외 자본을 적극 유치하고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기술 혁신을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파키스탄은 명확한 암호화폐 규제가 부재한 상황에서도 글로벌 암호화폐 채택률 상위 10위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제도화해 산업 육성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주목할 점은 바이낸스(Binance) 공동 창립자이자 전 CEO인 창펑 자오(Changpeng Zhao, CZ)가 최근 파키스탄 암호화폐 위원회 전략 고문으로 합류한 것이다. 자오는 X(구 트위터)를 통해 "현재 몇몇 국가 정부에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와 블록체인 솔루션을 자문하고 있다"고 밝혔다.
파키스탄의 이번 행보는 남는 전력이라는 기존 인프라를 디지털 경제 자산으로 전환하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규제와 국제 협력을 동반한 본격적인 암호화폐 산업 육성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