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AAPL)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높은 수입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을 미국으로 더 많이 공급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제품에 최대 34%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따른 대응 전략으로, 애플은 현재 백악관에 관세 면제를 요청한 상태다.
애플 측은 공식 입장 표명을 삼간 가운데, 이번 계획은 관세가 유예되거나 철회되기 전까지의 *임시 조치*로 알려졌다. 과거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에도 애플은 일부 제품에 대해 관세 면제를 받은 바 있다. 현재 제2기 행정부에서도 이와 유사한 방식의 면제를 노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번 관세 조치는 올해 초 발표된 20% 관세에 더해 지난주 추가된 34% 고율 부담으로, 중국산 제품을 겨냥한 강경 무역정책의 일환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대해 동일한 수준의 보복성 관세를 시행하자 자국의 대응조치로 이 같은 조치를 단행한 것이다. 인도에 대해서도 26%의 관세를 예고한 바 있다.
애플은 현재 전체 하드웨어 제품 중 약 90%를 중국에서 제조하고 있으며, 이번 관세로 인한 단가 상승을 반영하면 소비자 가격을 약 6% 인상해야 할 수 있다는 게 JP모건의 분석이다. 다만 애플이 올해 2월 미국 내 인공지능 중심 생산 시설과 연구개발에 5000억 달러(약 730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점을 들어 관세 면제 가능성을 높게 보는 시각도 있다.
이 같은 불확실성 속에서 애플 주가는 8일 하루에만 3.9% 하락했고, 지난주 관세 발표 이후로는 약 20%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업계는 애플 외에도 하드웨어 중심 제조기업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라 공급망 다변화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인도, 베트남 등 아시아 내 생산기지 확대 전략이 중장기 해결책으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