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의회 의원이 자국 외환보유고에 비트코인(BTC)을 포함할 것을 공식 제안하며, 유럽 내 암호화폐 수용 확대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8일 스웨덴 의원 리카드 노르딘(Rickard Nordin)은 재무장관 엘리사베트 스반테손(Elisabeth Svantesson)에게 비트코인을 국가 보유 자산으로 채택할 것을 촉구하는 공개서한을 등록했다. 그는 "스웨덴은 그동안 외화와 금 중심의 보수적 외환보유 전략을 유지해왔지만 디지털 자산의 급격한 발전을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며 "비트코인은 현재 여러 국가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 수단이자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르딘은 이어 "권위주의 정권 아래 억압을 받는 이들이 자유를 지키기 위한 결제 수단으로도 비트코인을 활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암호화폐가 단순한 금융 자산을 넘어 자유의 도구로 기능하고 있음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제안은 최근 미국의 움직임과 맥을 같이한다. 3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미 재무부와 상무부에 국가 비트코인 준비금을 조성할 것을 지시했다. 이 준비금은 범죄 수사 과정에서 압류된 암호화폐 자산을 활용해 조성되며, 세금 부담 없이 ‘예산 중립적 방식’으로 비트코인을 추가 확보할 방안이 모색 중이다.
이 같은 흐름은 체코에서도 감지된다. 체코 중앙은행장은 금년 초, 외환보유 자산 다각화 전략의 일환으로 비트코인 편입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유럽 각국 일부 인사들이 꾸준히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하지만 유럽연합(EU) 전체적 움직임은 다소 조심스럽다. 유럽의회 의원들은 트럼프의 행정명령 발표 이후에도 비트코인 관련 입장을 유보하고 있다. 시장에선 유럽중앙은행(ECB)이 추진하는 디지털 유로(CBDC) 출시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DFG의 창립자 제임스 우는 "ECB 내부 시스템 오류 사건은 디지털 통화 관리 역량에 의문을 남겼다"고 지적했다.
ECB 크리스틴 라가르드 총재는 디지털 유로가 오는 10월 출범 예정이라며, "현금과 병행해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현금 유사' 방식으로 설계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EU의 입장은 CBDC를 일관되게 반대해 온 트럼프의 정책과 뚜렷한 대비를 이룬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디지털 달러(CBDC) 발행을 전면 금지하는 행정 명령을 통해 중앙은행의 통화 발행 독점권에 제동을 걸고 민간 암호화폐의 역할을 강화하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미국과 유럽이 각기 다른 통화 디지털화 전략을 취하는 가운데, 스웨덴의 이번 제안이 유럽 내부에 어떤 파장을 낳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