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발표한 관세 유예 조치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비트코인(BTC) 채굴 산업은 여전히 구조적인 불이익에 직면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글로벌 채굴 기기 제조사들이 밀집한 일부 국가에 대한 관세율은 다소 유예됐으나, 미국 광산업체들은 여전히 높은 자본 지출 비용과 정책 불확실성에 시달리고 있다.
현재 대부분 국가에 대해 최소 10%의 관세가 유지되고 있으며, 중국 제품은 무려 145%로 상향 조정됐다. 미국 채굴 기업 해시랩스(Hashlabs)의 최고경영자 자란 멜러루드는 이러한 기본 관세 수준도 미국 채굴사들이 해외 경쟁사에 비해 '뚜렷한 불리함'을 감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조치가 미국 채굴 산업의 수익 구조를 즉각 흔들 만큼은 아니지만, 설비 투자비용이 상승하고 장기적으로 신규 투자 여력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장의 반응은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룩소르 테크놀로지(Luxor Technology)의 최고운영책임자인 이선 베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동성이 기기 가격을 밀어올리고 있다고 밝혔다. “향후 90일 이내 관세가 다시 오를 가능성에 대비해 많은 미국 채굴사들이 설비 선구매에 나서고 있다”며, 국내 입항 장비의 가격뿐 아니라 미국 내 조립 계약 가격도 상승 중이라고 전했다.
4월 초 발표된 관세 조치로 태국(36%), 인도네시아(32%), 말레이시아(24%) 제품에 대한 부과세가 상향됐는데, 이들 국가는 글로벌 상위 채굴기 제조 업체들이 밀집해 있는 지역이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 채굴기 수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고조되며 미국 내 업체들의 대응전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초 대선 선거 유세 당시 "남은 비트코인을 모두 미국에서 채굴하겠다"며 관련 산업에 대한 강력한 육성 의지를 표명한 바 있으나, 실제 산업에 대한 우선순위는 낮은 것으로 보인다. 베라는 “관세 정책은 암호화폐 산업보다는 다른 산업 전반에 집중돼 있다”며, 채굴기 시장의 경우 여전히 정책적 뒷받침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관세 부과와 유예를 반복하는 정책 방향은 미국 채굴 산업 확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멜러루드는 “채굴 기업에 필요한 것은 지속 가능하고 예측 가능한 정책이지, 3개월마다 뒤집히는 조치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4월 8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관세 강화가 미국 내 채굴기 수요를 급감시키고, 제조사들이 미국 외 지역에 저가에 제품을 풀면서 글로벌 시장 경쟁력은 미국 기업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룩소르 또한 비즈니스 전략의 재조정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라는 “이런 불안정한 정책 환경이 미국 내 확장을 가로막고 있다”며, 향후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 암호화폐 기업이 지속 가능한 환경 조성 대신 리스크 완화에 자원과 전략을 집중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과 함께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일시적 진폭이 감지되고 있다.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1.2% 하락한 8만555달러(약 1억1,760만 원)로 집계됐으며, 올해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한 날 기록했던 역대 최고가 10만8,786달러(약 1억5,871만 원) 대비 26% 하락한 상태다.
채굴 산업을 둘러싼 관세 이슈가 장기화될 경우, 미국 내 관련 기업들의 투자 선순환 구조가 붕괴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안정적인 정책 환경 조성을 통한 확신이 부재한 상황에서, 관세 유예는 일시적 완화에 불과하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