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 '해방의 날' 관세 폭탄에 美 테크주 급락…AI·반도체 향방은?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2025.04.05 (토) 01:53

2
2

트럼프 대통령의 돌발 관세 발표가 美 증시에 충격을 주며 테크주가 급락했고, AI 투자 열기와 반도체 협력에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정치 불확실성이 시장 전반의 최대 리스크로 떠올랐다.

트럼프 '해방의 날' 관세 폭탄에 美 테크주 급락…AI·반도체 향방은? / TokenPost Ai

트럼프 대통령이 이른바 ‘해방의 날(Liberation Day)’ 관세를 전격 발표하면서 미국 증시를 강타했고, 테크 주식이 일제히 급락했다. 예고 없이 단행된 고율 관세는 시장에 즉각적인 충격파를 안겼으며, 많은 투자자들은 아직도 그 여파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이번 조치가 기술 산업 전반, 더 나아가 미국 경제 전체를 *경기침체*로 몰고 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가장 큰 타격을 받은 분야는 역시 반도체였다. 다만 인텔(INTC)과 TSMC(TSM)의 공동 생산 합작법인 설립 논의가 전해지며 일말의 반등 기대를 낳았다. TSMC가 인텔의 칩 공장 지분 20%를 인수하는 형태지만, 최종 성사 여부와 실질적인 경쟁력 제고에는 여전히 의문 부호가 따라붙는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양사의 협력이 미국 내 반도체 자립 전략과 맞물리는 점은 긍정적이나, 경쟁 구도에선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퀄컴(QCOM)은 칩 산업 내 입지를 확장하기 위한 M&A 행보를 공격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최근 베트남 AI 스타트업 모비안AI 인수에 이어, 영국의 알파웨이브 인수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행보는 AI 칩 기술에서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자,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압력 속 생존 전략으로 풀이된다.

AI 산업 투자 열기는 여전히 식지 않고 있다. 오픈AI가 400억 달러(약 57조 6,000억 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하며, 포스트 머니 기준 기업가치를 3,000억 달러(약 432조 원)까지 끌어올렸다. 이는 사상 최대 규모의 단일 AI 투자로, 글로벌 벤처캐피털 시장의 1분기 투자액 1,130억 달러 중 상당수를 오픈AI와 같은 초대형 AI 딜이 차지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너무 높은 밸류에이션에 대한 불안도 커지고 있다. 한 투자전문가는 “이 정도 가치라면 단기 실적 부진조차 절대 용납되지 않는다”고 평했다.

오픈AI 외에도 알파벳(GOOGL) 산하 이소모픽 랩스가 6억 달러, 영상 생성 AI 스타트업 런웨이가 3억 800만 달러를 유치하며 AI 중심의 투자 흐름을 재확인시켰다. 그러나 가트너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는 AI 기능에 적극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며, 스마트폰이나 PC에 강제 탑재되는 형태가 주류가 될 전망이다. 이는 *AI 소비자 제품화 전략*의 전환을 시사하는 분석이다.

AI를 둘러싼 반전 요소는 사이버 보안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AI 기반 공격 시뮬레이션이 이제는 사람보다 빠르게 위협을 감지하고 대응하는 수준에 이르렀고, 리얼리어퀘스트, 싸이버헤이븐 등 기업들이 수억 달러 규모 투자를 유치하며 ‘AI 보안’ 기술 경쟁에 돌입했다. 이른바 *AI 기반 사이버 리셋*이 도래한 셈이다.

정치와 산업의 긴장이 교차하는 지점은 틱톡 매각 이슈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오라클(ORCL), 앱러빈, 아마존(AMZN)까지 인수전에 참여 의사를 내비쳤지만 최종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정부의 정치적 계산에 달려 있다. 특히 테크 산업 전반에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이 그림자를 드리운 가운데, 시장은 여전히 방향성을 잡지 못하고 있다.

한편 암호화폐 시장은 이례적으로 반사 이익을 누리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이 직상장을 추진하며 업계 회복 기대감을 자극했고, 약세장이지만 코어위브는 상장 직후 주가가 급등하며 체면을 세웠다. 그러나 클라르나, 스텁허브 등은 미뤄진 기업공개 일정 속에서 다시 내부 전략을 정비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결국 AI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정치 리스크는 시장의 최대 복병으로 부상하고 있다. 테크 산업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AI 주도 기술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시대적 변곡점에 놓인 지금, 향후 트럼프 대통령 정책의 방향성은 증시와 산업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2

추천

2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2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릴라당

18:22

등급 아이콘

bleu28

02:00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04.05 18:22:1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bleu28

2025.04.05 02:00:40

탁월한 분석이에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