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해즈브로, 전략 전환 발표 후 주가 12.95% 급등

작성자 이미지
최윤서 기자

2025.02.22 (토) 00:22

대화 이미지 0
하트 이미지 0

해즈브로가 ‘플레잉 투 윈’ 전략을 발표한 후 주가가 12.95% 상승했다. 실적 개선과 장기 성장 가능성이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해즈브로, 전략 전환 발표 후 주가 12.95% 급등 / Tokenpost

해즈브로(HAS)가 전략적 방향 전환을 발표한 이후 주가가 급등했다.

장난감 및 게임 업계 거대 기업인 해즈브로(HAS)는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주가가 12.95% 상승했다. 시장의 긍정적인 반응은 실적 개선과 장기적인 매출 성장 가능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해즈브로는 ‘플레잉 투 윈(Playing to Win)’ 전략을 내세워 전통적인 브랜드와 신규 IP(지식재산권)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있다. 회사가 보유한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매직: 더 개더링(Magic: The Gathering), 던전 앤 드래곤(Dungeons & Dragons), 모노폴리(Monopoly), 너프(NERF) 그리고 트랜스포머(Transformers) 등이 있다.

2024년 4분기 실적에 따르면, 해즈브로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5% 감소한 11억 달러(약 1조 5,950억 원)를 기록했다. 그러나 순손실 규모는 전년 동기 10억 6,000만 달러(약 1조 5,370억 원)에서 올해 3,430만 달러(약 500억 원)로 97% 줄어들면서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다.

한편, 미국 정부의 ‘중국산 제품 관세 정책’이 잠재적인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지만, 해즈브로는 이를 대비해 생산 기지를 다변화할 계획이다. 현재 미국으로 수입되는 완구 및 게임 제품의 약 50%가 중국에서 제조되지만, 향후 2년 내 이 비율을 40% 미만으로 줄일 방침이다. 또한 라이선스 사업의 경우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2025년 해즈브로는 신규 제품과 게임을 대거 출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기존 IP를 확장하기 위해 업계 주요 기업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경쟁사 마텔(MAT)과 협업을 통해 ‘플레이도(Play-Doh)’ 버전의 바비(BARBIE) 인형을 개발하기로 했다.

해즈브로는 2027년까지 브랜드 도달 범위를 5억 명에서 7억 5,000만 명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평균 ‘미드 싱글 디짓’(중단기 한 자릿수) 매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연간 영업이익률을 50~100bp(베이시스 포인트)씩 증가시키겠다는 전략을 내놓았다.

한편, 이러한 실적과 전략적 변화를 놓고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해즈브로의 목표주가를 기존 95달러에서 80달러로 하향 조정하면서도,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BoA는 2026년 예상 주당순이익(EPS)에 대해 적용하는 배수를 낮춘 것이 목표가 하향의 이유라고 밝혔다.

반면, 투자은행 로스 MKM(Roth MKM)은 해즈브로의 목표주가를 68달러에서 82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매수’를 유지했다. 로스 MKM은 해즈브로의 4분기 실적이 긍정적이며, ‘플레잉 투 윈’ 전략이 성장세를 지속적으로 이끌 것으로 내다봤다.

해즈브로가 전략적 변화와 신사업 확장을 통해 매출 반등을 이뤄낼 수 있을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