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트버지니아주가 인플레이션 헤지를 위한 전략으로 국고 자산에 비트코인을 포함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15일(현지시간)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크리스 로즈(Chris Rose) 웨스트버지니아 상원의원이 주 정부의 자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수 있도록 하는 '2025년 인플레이션 보호법(Inflation Protection Act of 2025)'을 14일 제출했다. 이 법안은 시가총액이 7500억 달러를 초과하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현재 기준으로 비트코인(BTC)만 해당된다. 이더리움(ETH)의 시가총액은 3283억 달러로 기준보다 50% 이상 낮아 포함되지 않는다.
법안에 따르면 디지털 자산과 귀금속에 대한 투자는 전체 국고 자산의 10%를 초과할 수 없으며, 주 정부는 이를 온체인 또는 상장지수펀드(ETF) 형태로 보유할 수 있다. 법안 지지자들은 이러한 자산 다각화가 물가 상승과 재정 불안정성에 대한 보호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연방 및 주 정부 차원의 재정 적자가 장기적으로 미칠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에서, 비트코인을 국고에 포함하는 것이 안전자산 전략의 일환으로 고려되고 있다.
웨스트버지니아의 이번 움직임은 디지털 자산을 공공 자금 보호 수단으로 도입하려는 주 정부들의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나온 것이다. 2024년 와이오밍주가 처음으로 이를 도입한 이후, 현재 약 20개 주가 유사한 법안을 검토하고 있다.
6일 유타주 하원이 비트코인, 대형 알트코인, 스테이블코인을 준비금으로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상원 심사를 앞두고 있다. 같은 날 켄터키주도 전체 국고 자산의 10%까지 비트코인과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13일 미시간주에서도 브라이언 포스투무스(Bryan Posthumus)와 론 로빈슨(Ron Robinson) 하원의원이 디지털 자산 준비금을 허용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미시간주의 법안은 특정 자산 유형에 제한을 두지 않아, 다른 주보다 폭넓은 암호화폐 투자가 가능할 전망이다.
이외에도 텍사스, 노스다코타,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다코타, 매사추세츠, 뉴햄프셔,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메릴랜드, 아이오와, 애리조나, 오클라호마, 테네시, 위스콘신 등 여러 주에서 비슷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일부 주 의원들은 연방 정부가 결정을 내리기 전에 개별 주 차원에서 디지털 자산을 국고에 편입하는 전략을 선제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방 차원에서도 관련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은 지난달 행정명령을 통해 디지털 자산 준비금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개별 주 정부가 연방 정책보다 앞서 디지털 자산을 재정 전략에 통합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주 정부 차원의 비트코인 준비금 채택이 시장 수요를 증가시키고, 디지털 자산 시장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자산운용사 반에크(VanEck)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법안을 추진하는 주 정부들이 총 230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와 동시에 기관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시장 참여가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금과 같은 전통적인 안전자산이 주 정부의 국고 자산으로 활용되어 왔지만, 비트코인을 새로운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정하는 움직임이 확산되면서 금융 시장 전반에 걸쳐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이 국고 자산으로서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중한 위험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웨스트버지니아 법안은 현재 위원회 심사를 거칠 예정이며, 향후 입법 과정에서 이에 대한 추가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