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이 지지한 리브라(LIBRA) 토큰이 출시 직후 내부 관계자들의 대규모 매도 공세로 폭락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최소 8개의 내부 지갑이 리브라 토큰 유동성을 빼돌리며 약 1억 700만 달러(약 1,550억 원) 상당의 USDC와 솔라나(SOL)를 인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토큰은 발행 11시간 만에 시가총액이 94% 증발하며 4억 5,600만 달러(약 6조 6,100억 원)에서 2억 5,700만 달러(약 3,700억 원)로 급락했다.
![](https://f1.tokenpost.kr/2025/02/de80cbgu23.png)
밀레이 대통령은 리브라 프로젝트가 "아르헨티나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민간 프로젝트"라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홍보한 바 있다. 그러나 토큰이 급락하자 게시물을 삭제한 후 정치적 반대 세력에 책임을 돌리며 "정치 기득권층이 이를 악용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의 원인으로 리브라 토큰의 ‘불완전한 토크노믹스’를 지적하고 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버블맵스(Bubblemaps)는 토큰 출시 전부터 총 공급량의 82%가 초기 풀려 있어 내부자가 대량 매도할 위험이 크다고 경고한 바 있다.
한편, 밈코인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출시한 ‘트럼프(TRUMP)’ 토큰과 멜라니아 트럼프의 ‘멜라니아(MELANIA)’ 토큰 출시 이후 유명 인사 연계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 리브라 사태는 유명인 지지 여부와 무관하게 프로젝트의 투명성과 토큰 운영 방식이 투자 안전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경고하는 사례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