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Bybit, 차기 알트코인 강세장 촉발 요인 분석… 기관 투자·이더리움 반등 관건

작성자 이미지
김서린 기자

2025.02.16 (일) 00:18

대화 이미지 3
하트 이미지 10

Bybit는 보고서를 통해 차기 알트코인 강세장이 기관 투자 확대, 이더리움 반등, 밈코인 열기 지속, 비트코인 차익 실현 증가에 달렸다고 분석했다.

Bybit, 차기 알트코인 강세장 촉발 요인 분석… 기관 투자·이더리움 반등 관건 / Tokenpost

암호화폐 시장에서 알트코인 시즌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Bybit가 차기 알트코인 강세장을 촉발할 주요 요인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Bybit와 시장 분석업체인 블록 스콜레스(Block Scholes)가 공동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알트코인 상승장을 이끌기 위해서는 ▲ 기관 투자자의 참여 확대 ▲ 이더리움(ETH)의 시장 주도력 회복 ▲ 밈코인 투자 열기 지속 ▲ 비트코인(BTC) 보유자들의 차익 실현 증가가 필요하다.

전통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의 강세장 후반부에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면서 알트코인으로의 자금 이동이 활발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2017년과 2021년의 강세장에서는 다수의 알트코인이 사상 최고가(ATH)를 경신했다. 하지만 현재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이 여전히 사상 최고가를 갱신하며 시장을 지배하고 있어, 과거 강세장 패턴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Bybit 보고서는 이 같은 시장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출범 이후 BTC에 대한 기관 수요가 증가한 점을 꼽았다. 뿐만 아니라 이더리움의 상대적 부진도 알트코인 강세장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일부 시장 참여자들은 이더리움이 BTC를 대체할 만큼의 시장 주도력을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차기 알트코인 강세장을 위해서는 비트코인 보유자들의 차익 실현이 활발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른 시장 조정이 발생하면 자연스럽게 자금이 알트코인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더리움이 다시 시장 리더십을 확보하며 반등해야 하고, 투자자들이 밈코인과 소형 알트코인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더불어 미국 규제 당국이 알트코인 기반 ETF 승인 여부를 검토 중인 점도 언급됐다. Bybit는 이러한 흐름이 기관 투자자들의 알트코인 시장 참여를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3

추천

1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2.16 21:37:4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다사랑

2025.02.16 11:04:30

후속기사 원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5.02.16 09:09:2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