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사이버보안·AI로 몰리는 벤처머니…미 스타트업들 '조 단위' 투자 유치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0

체인가드와 수퍼베이스 등 주요 미국 스타트업들이 이번 주 최대 5,000억 원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AI, 사이버보안, 친환경 기술 분야에 벤처 자금이 집중되고 있다.

사이버보안·AI로 몰리는 벤처머니…미 스타트업들 '조 단위' 투자 유치 / TokenPost Ai

이번 주 미국 스타트업 투자 시장은 대형 IPO는 없었지만 탄탄한 자금 조달이 이어지면서 각 산업의 주목할 만한 업체들이 존재감을 드러냈다. 특히 사이버보안과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 수백억 원 규모의 대형 투자가 집중돼 벤처 자금의 흐름이 어느 쪽으로 향하고 있는지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이번 주 최대 투자 유치를 성공시킨 기업은 사이버보안 스타트업 체인가드(Chainguard)다. 이들은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을 강화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시리즈 D 라운드에서 3억 5,600만 달러(약 5120억 원)를 조달했고, 이에 따라 기업 가치는 35억 달러(약 5조 400억 원)로 크게 상승했다. 이번 투자에는 클라이너 퍼킨스와 IVP가 공동 주도 투자자로 참여했다. 체인가드는 지난 라운드에서 평가받은 11억 2,000만 달러 대비 3배 이상 상승한 기업 가치를 인정받으며 고속 성장 중인 강소기업으로 떠올랐다.

이어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기업 수퍼베이스(Supabase)도 이번 주 투자 시장의 초점이 됐다. 구글의 파이어베이스와 경쟁 중인 이 스타트업은 인공지능(AI) 앱 개발에 특화된 데이터베이스 제품을 개발 중으로, 액셀(Accel)이 주도한 라운드에서 2억 달러(약 2,880억 원)를 유치하고 기업 가치는 20억 달러(약 2조 8,800억 원)로 평가받았다.

산업 분야에서도 ‘친환경 철강’을 내세운 일렉트라(Electra)와 같은 청정기술 스타트업이 주목받았다. 이 회사는 순수 철 생산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시리즈 B 라운드에서 1억 8,600만 달러(약 2,680억 원)를 유치했고, 이는 향후 데모 플랜트 건설에 사용될 예정이다.

핀테크 분야에서는 로스앤젤레스 기반의 자산관리 플랫폼 알트루이스트(Altruist)가 1억 5,200만 달러(약 2,190억 원)를 조달하면서 19억 달러(약 2조 7,400억 원) 기업 가치에 도달했다. 자체 청산 기능과 통합 자문 플랫폼을 무기로 투자자들로부터 폭넓은 관심을 받았다.

서울 기반 소셜 메시징 스타트업 매니챗(Manychat)은 서밋 파트너스 주도로 1억 4,000만 달러(약 2,010억 원) 규모의 성장자금을 유치했다. 이 스타트업은 인스타그램, 틱톡 등 플랫폼 기반의 챗봇 및 자동화 툴을 제공하며 매년 수십 억 건의 메시지를 처리하고 있다.

항공 스타트업 일렉트라 에어로(Electra.aero)도 1억 1,500만 달러(약 1,660억 원)를 유치하며 단거리 이착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전기 항공기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100억 달러(약 14조 4,000억 원) 규모의 선주문도 확보한 상태다.

이 밖에도 생체센서 기술을 개발 중인 바이오링크(Biolinq)와 데이터 이벤트 분석 플랫폼 데이터마이너(Dataminr), 위워크 공동창업자 아담 뉴먼(Adam Neumann)이 설립한 부동산 스타트업 플로우(Flow)까지 각각 1억 달러(약 1,440억 원) 이상의 자금을 유치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주 미국 시장을 제외한 최대 투자 사례는 중국 상하이의 고정밀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첸쉰 스페이셜 인텔리전스(Qianxun Spatial Intelligence)가 기록했다. 이 회사는 약 1억 3,700만 달러(약 1,970억 원)를 확보했다.

이번 집계는 4월 19일부터 25일까지 미국 본사를 둔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자금 유치 사례들 가운데 공식 발표된 라운드를 바탕으로 집계됐다. 시장에는 대형 IPO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AI와 사이버보안, 친환경 기술 등 전략 분야 중심의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술 주도형 성장 기조는 여전히 강력하게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