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구글 클라우드, AI 앞세워 AWS·애저 추격… 2025년 77조 매출 전망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1
3

구글 클라우드가 AI 통합 전략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보이며, 2025년 매출 77조 원과 높은 수익성을 기록할 전망이다. GCP는 2025년 약 34% 성장률로 AWS와 애저를 앞지를 것으로 분석된다.

구글 클라우드, AI 앞세워 AWS·애저 추격… 2025년 77조 매출 전망 / TokenPost Ai

구글(GOOGL)의 클라우드 부문이 AI 중심 전략을 중심으로 급속한 성장을 기록하며 업계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2025년 기준 구글 클라우드 전체 매출이 약 540억 달러(약 77조 7,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을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이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구글이 IaaS와 PaaS 중심의 성장전략을 강화한 첫 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구글은 여전히 클라우드 시장에서 아마존웹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에 비해 2.5배에서 3배가량 작은 규모다. 그러나 이번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구글은 AI 통합 역량, 독자 하드웨어, 빅쿼리(BigQuery) 및 Vertex AI와 같은 역량을 앞세워 차별화된 플랫폼을 제시했다. 특히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멀티 클라우드 현실을 인지하고, 기존 데이터 및 워크플로우와의 통합을 강조한 점이 실리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문가 조사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는 구글이 AI 부문에서 AWS와의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있음을 보여준다.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및 AI 애플리케이션 도입률은 급증하고 있으며, GCP는 관련 분야에서의 도입률에서 2023년 대비 73%에서 95% 수준으로 도달했다. 특히, 해당 분야에서의 순 지출 증가율(Net Score)은 AWS가 60%, 구글이 56%로 양측 모두 강한 수요 모멘텀을 보여주고 있다.

GCP의 성장률은 2025년에 약 34%에 이를 전망이며, 이는 Azure(27%)나 AWS(17%)를 앞질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는 전통적인 IT 예산 증가율이 한 자릿수에 그치는 것과 대비되며, 클라우드 인프라로의 전환이 보다 가속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GCP의 인공지능 중심 아키텍처 확장은 해당 성장률의 주요 요인으로 평가받는다.

이 같은 성장은 재무 성과에도 반영되고 있다. GCP는 오랜 적자 구조를 딛고 최근 영업이익률에서 17.5%까지 도달하며 수익성 전환에 성공했다. 물론 AWS(35%)나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의 40%대 영업이익률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사업 규모 확장에 따른 고정비 분산과 운영 효율성 향상이 주된 이유로 분석된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GOOGL)의 올해 설비투자 지출도 대폭 확대됐다. AWS가 물류 중심의 인프라에 많은 비용을 투입하는 반면, 구글은 데이터센터, AI 칩(TPU), 네트워크 등 클라우드와 AI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이는 향후 AI 시대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전략적 포석으로 해석된다.

구글은 이번 행사에서 자사의 AI 모델 ‘제미니(Gemini)’와의 통합을 포함해, 완전한 수직 통합형 AI 스택을 강조했다. 이는 오라클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합하던 전략과 유사한 접근이며, 비즈니스 민첩성과 데이터 일관성을 강화하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또한 개발자 도구 체계에 생성형 AI를 적극 도입하며, GKE를 AI 학습 인프라로 확장하는 계획도 공개하였다. 이는 개발자 생태계 내 주도권 확보로 이어질 수 있다.

보안 분야에서도 존재감을 키우는 중이다. 기존 인시던트 대응 중심의 맨디언트 인수에 이어,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 위즈(Wiz)까지 인수하면서 통합형 보안 플랫폼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보안 역량 강화는 AWS 대비 약점으로 지적되던 부분의 보완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구글 클라우드는 2025년 현재 30%에 가까운 고속 성장과 수익성 회복, AI 자산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시장 주도권 다툼에서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 다만 향후 관건은 AI 역량을 실제 시장 점유율 확대와 수익성 강화로 얼마나 성공적으로 전환할 수 있느냐가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1

추천

3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가즈아리가또

02:58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가즈아리가또

2025.04.14 02:58:1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