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펑크(CryptoPunks) 거래로 약 175억 원에 달하는 수익을 신고 누락한 NFT 투자자가 최대 징역 6년형에 처할 수 있다는 미국 법무부 발표가 나왔다. NFT 수익에 대한 탈세 문제는 점점 더 주요한 규제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중부 연방 검찰청은 45세의 NFT 투자자 웨일런 윌콕스(Waylon Wilcox)가 2021년과 2022년에 허위 소득세 신고를 한 혐의로 유죄를 인정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2021년 신고에서 850만 달러(약 124억 1,000만 원), 2022년 신고에서 460만 달러(약 67억 2,000만 원)의 수익을 축소 신고하며 누락된 조세가 약 31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이번 사안에 대해 "해당 혐의에 따른 최대 법정 형량은 징역 6년이며, 수감 이후 감독 하에 석방될 수 있고 금전적 벌금도 부과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실제 선고 형량과 판결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이번 사건은 NFT 시장 내 법적 책임과 조세 제도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 한번 일깨우고 있다.
한편, NFT와 디파이 영역을 뛰어넘는 마케팅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발표된 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블록체인 게임 및 도박 서비스가 사용자 확보 비용 측면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웹3 마케팅 기업 어드레서블(Addressable)의 공동 창립자 아사프 내들러(Asaf Nadler)는 자사 보고서를 통해 "게임 및 도박 캠페인의 지갑당 유입비용(CPW)이 업계 평균 대비 가장 높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CPW가 미디안 기준으로 약 8.74달러(약 1만 2,800원), 하위 25% 구간에서도 3.40달러(약 5,000원)로 나타났다. CPW는 웹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 가운데 이미 브라우저에 암호화폐 지갑을 설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측정되기 때문에 단순 방문자 수보다 전환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 확보 비용으로 여겨진다. 내들러는 "지갑 보유 사용자는 암호화폐 제품에 대한 전환률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설명하며,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의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발표한 통상 명령에서 일부 전자제품을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번 완화 조치에는 스마트폰, 반도체 칩, PC를 비롯해 인터넷 모뎀, 저장장치 등 일부 IT 부품이 포함됐다. 미국 세관국경보호청(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은 해당 품목들을 ‘상호 관세’ 예외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같은 정책 발표 직후 비트코인(BTC)은 2.5% 가량 상승해 8만5천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일부 투자자들이 거시경제적 완화 분위기를 반영해 다시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암호화폐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 변화와 규제 접근 방식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점차 낙관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