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0년 대선의 부정선거 주장에 맞섰던 주요 인사 2명에 대해 법무부에 공식 수사를 지시하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이번 지시는 전직 사이버 보안 책임자인 크리스 크렙스와 '어나니머스'라는 필명으로 트럼프 행정부를 공개적으로 비판해 온 마일스 테일러를 대상으로 한다.
크렙스는 트럼프 대통령 재임 당시 사이버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CISA) 국장을 맡아 2020년 선거에 대해 “역사상 가장 안전했다”고 평가하며 트럼프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한 바 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그를 전격 해임했고, 오늘 백악관 집무실에서 서명된 메모랜덤에서는 크렙스가 “자신의 직위를 정치적 무기화했다”고 비판하며, 그의 안보 위협 여부를 조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크렙스가 현재 재직 중인 사이버보안 기업 센티넬원(SentinelOne)과 관련된 안보 전문가들의 기 밀 취급 인가도 일시 정지 조치가 내려졌다.
같은 조치가 내려진 또 다른 인물은 마일스 테일러다. 그는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입법 보좌관으로 일한 후, 트럼프 1기 집권기 당시 국토안보부 장관 비서실장을 지냈다. 2018년 뉴욕타임스에 ‘어나니머스’ 필명으로 “나는 트럼프 행정부 내부 저항 세력의 일원”임을 밝히며 주목받았고, 이후 출간한 책 『경고(A Warning)』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는 “그는 반역죄에 해당할 수도 있다”며 강도 높은 발언을 쏟아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마일스 테일러는 사실상 예견된 일이었다고 반응했다. 그는 X(구 트위터)에 "이 나라의 반대 의견 개진은 불법이 아니며, 반역은 더더욱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은 그 스스로의 비판자들을 더욱 정당화하고 있다"고 비판 의견을 전했다.
크렙스는 이번 사안과 관련해 별다른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며, 미국 사이버 보안 업계와 정치권 전반에서 법무부 수사의 정치적 중립성과 정당성을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번 조처는 대선 이후 지속된 선거 결과 불복 논란과 맞물려 트럼프 대통령의 반대자 탄압이라는 해석도 낳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