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인도, 외국산 철강에 철벽…정부 사업 입찰 사실상 봉쇄

작성자 이미지
연합뉴스

2025.04.05 (토) 22:04

3
4

인도가 정부 조달 프로젝트에 외국산 철강 사용을 대폭 제한하며 자국산 우선 정책을 강화했다. 이는 중국산 수입 급증과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조치다.

인도, 외국산 철강에 철벽…정부 사업 입찰 사실상 봉쇄 / 연합뉴스

인도가 정부 사업에 외국산 철강 사용을 대폭 제한한다. 자국산 철강을 먼저 쓰고, 외국산은 공급이 어려울 때에만 허용된다.

4일 인도 이코노믹타임스 등에 따르면 인도 철강부는 ‘2025 국산 철강 제품 정책’을 발표했다. 앞으로 정부와 공공기관이 50만 루피(약 844만 원) 넘는 철강을 구입할 땐 인도산을 우선 사용해야 한다.

또 조달 금액이 20억 루피(약 338억 원) 이하일 경우 외국 기업은 입찰에 참여할 수 없다.

기술 사양이나 인증 조건이 외국산 중심으로 작성되는 것도 제한된다. 인도 업체에 불리하다고 판단되면 차별적 조치로 간주한다. 인도 기업이 진출하지 못하는 나라의 기업은 인도 정부 입찰에도 참가할 수 없다.

다만, 인도에서 해당 철강 제품을 만들지 못하거나 국내 기업이 물량을 공급하지 못할 경우는 예외다.

이번 정책은 앞으로 5년간 적용되며, 필요하면 연장할 수 있다.

인도가 이런 조치를 내린 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서다. 특히 수요 증가와 함께 중국산 철강 수입이 급속히 늘고 있어서다.

인도는 2017년 연간 생산량을 3억 톤까지 늘리겠다는 ‘국가 철강 정책’을 세운 바 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제조업 육성 전략 ‘메이크 인 인디아’의 일환이다.

현재 인도는 연간 1억8000만 톤의 철강을 생산한다. 세계에서 중국 다음으로 많다. 하지만 워낙 수요가 높다 보니 외국산 철강 수입도 급증 중이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들어온 중국산 완제품 철강은 160만 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0% 늘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물리기로 하면서, 중국뿐 아니라 한국·일본산 제품이 인도 시장으로 대거 쏠릴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달 인도 무역규제총국은 외국산 철강 수입이 국내업계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며, 수입품에 대해 200일간 12%의 관세를 부과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3

추천

4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4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Slowpoke82

12:40

등급 아이콘

사계절

10:47

등급 아이콘

릴라당

08:44

등급 아이콘

가즈아리가또

02:00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4.06 10:47:5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릴라당

2025.04.06 08:44:1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가즈아리가또

2025.04.06 02:00:0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