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치권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친암호화폐 기조가 점차 구체화되며, 관련 규제 방향성과 정책 환경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암호화폐 관련 규제 전담 전담팀 구성 지시와 함께, 연방 차원의 명확한 정책 수립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와 같은 흐름은 주요 암호화폐 시장에 심리적 긍정 요소로 작용하면서 향후 미국 내 디지털 자산 규제 지형에도 중대한 전환점을 예고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백악관은 최근 디지털 자산 시장의 경쟁력 확보와 투자자 보호 사이 균형을 맞추기 위한 고위급 실무 협의체를 발족할 계획이다. 이 팀은 규제 명확성, 세제 개편, 중앙정부의 암호화폐 준비금 도입 여부 등을 주요 의제로 다루게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권 2기 출범 이후 블록체인 산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뜻을 거듭 밝히고 있어, 해당 협의체가 단기간 내 시장에 실질적인 변화를 선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관련 업계는 이번 움직임을 트럼프 행정부의 확고한 의지로 평가하면서도, 기존 연방 기관 사이의 권한 중복과 이견 조율 문제가 현실적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코인센터(Coin Center)의 수석 법률 고문 제리 브리토(Jerry Brito)는 "그간 미국에서는 SEC와 CFTC가 서로 다른 기준으로 규제를 적용해 시장 혼란이 지속됐다"며, "이번 전담팀이 일원화된 기준을 제시한다면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친암호화폐 정책이 발표될 경우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같은 대형 자산부터 소위 '정치 테마 코인'까지 시장 전반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부 투자자들은 이미 관련 모멘텀을 선반영하고 비중 확대에 나선 상황이라고 분석된다. 기존 정책 불확실성으로 미국 내 암호화폐 기업들이 다른 규제 우호 국가로 본사를 이전하던 분위기가 반전될 수 있다는 기대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다만 이번 발표가 실제 입법이나 행정 명령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 정책 고문 킴벌리 하일든은 "상원 통과라는 구조적 허들을 감안하면 정책 전환이 실현되기까지 수개월 이상 걸릴 수 있다"며, "단기적으로는 상징성 있는 조치나 행정명령을 중심으로 시장 반응이 나타날 것"이라고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연방준비제도(Fed)를 향해 금리를 과도하게 높였다며 비판적 입장을 보인 바 있다. 이에 따라 금융 여건의 완화가 병행될 경우, 암호화폐를 포함한 위험자산 전반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일부 글로벌 투자사는 미국에서 친암호화폐 정책이 실현되면 수익성이 높은 새로운 자본 유입 기회로 판단하고 포지션을 조정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