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미국산 제품에 대해 최대 8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이 조치는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 명명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발효 하루 만에 전격적으로 시행됐다. 미국이 지난 수요일 자정 직후 중국산 수입품에 104%에 달하는 전면적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은 그 다음날 자정 1분을 기해 자국산업 보호에 나섰다.
중국 재정부는 성명을 통해 “미국이 중국에 대해 관세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행위는 실수에 실수를 더하는 격이며, 이는 중국의 정당한 권익을 침해하고 다자간 무역 시스템 전체를 위협한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어 “우리는 끝까지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이며, 당분간 미중 간 무역 분쟁이 더 격화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이후 줄곧 ‘상호주의 관세’라는 깃발 아래 자국 우선 무역 정책을 밀어붙여 왔다. 이번 조치 역시 이른바 ‘부당한 무역 관행’에 대한 정면 대응이라며, 미국 산업과 일자리를 보호하기 위한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장과 전문가들은 미국의 초강경 조치가 단기적인 정치적 성과 외엔 실익이 없을 수 있으며, 오히려 글로벌 공급망과 소비자 물가에 광범위한 타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지난주 중국은 미국의 관세 부과 직후 34%의 상응 조치를 발표한 바 있으며, 이후 연이어 더 강력한 대응 수단을 예고했다. 이번 발표는 그 연장의 일환으로, 양국 간 무역 보복이 한층 고조된 상황이다. 특히 이번 관세 강화 조치에는 기술, 에너지, 농산물 등 주요 산업군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무역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중국 및 미국 모두의 생산성과 해외 투자 유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글로벌 기업들 역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공급망 재편이나 생산 거점 이동을 검토할 수밖에 없는 환경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번 중국의 대응은 트럼프 정부의 강경책에 대한 외교적, 경제적 반격이라는 점에서, 향후 미 행정부가 추가 타협 여지를 남겨둘지 여부에 따라 분쟁 수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양국 지도부 모두 ‘물러서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 가까운 시일 내 돌파구를 찾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