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미국발 26% 관세폭탄…인도 자동차·귀금속 산업 ‘직격탄’

작성자 이미지
연합뉴스

2025.04.04 (금) 22:04

2
1

미국이 인도산 제품에 26% 관세를 부과하면서 자동차 부품과 귀금속 산업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 반면 제약·의류 업계는 피해를 피해 오히려 기회를 얻고 있다.

미국발 26% 관세폭탄…인도 자동차·귀금속 산업 ‘직격탄’ / 연합뉴스

미국이 인도산 제품에 26%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인도 산업계가 타격을 입고 있다. 자동차 부품과 귀금속 업계는 수출 경쟁력 약화로 큰 피해가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는 미국 상품에 52% 관세를 부과했지만, 우리는 거의 아무것도 부과하지 않았다. 이제 26%의 상호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 조치로 미국 수출이 매년 최소 53억 달러(약 7조8천억 원)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도는 제조업 육성을 목표로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을 펴왔지만, 이번 관세로 글로벌 생산 기지로 도약 하려던 계획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드비어 그룹은 “이번 조치로 인도 수출 경쟁력이 즉각 떨어지고, 중국을 떠나는 투자 유치에도 악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인도 자동차 부품업계는 타격이 크다. 전체 수출의 약 3분의 1이 미국으로 향하는 가운데, 예상보다 높은 관세로 업계는 충격을 받고 있다. 보그워너의 제품 디렉터는 “차량 가격 상승을 넘어 수요 위축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귀금속 산업도 마찬가지다. 인도는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가공국이지만, 이미 중국의 수요 감소로 수출이 줄고 있는 상황에 관세까지 더해져 어려움이 커질 전망이다.

반면 일부 업계는 이번 조치가 오히려 기회라는 시각도 있다. 인도산 제약품은 관세 품목에서 제외돼 피해를 피했고, 제약업 관련 주가도 상승 중이다. 의류와 신발업계 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26% 관세로 베트남이나 방글라데시보다 유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과의 무역협정 체결 전망도 밝다. 지난 2월 인도 모디 총리는 백악관을 방문해 협정 체결 의지를 밝혔고, 이후 양국이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향후 양국이 협정에 합의하면 상호 관세는 폐지되고 새로운 기준으로 관세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는 미국을 대상으로 고급 오토바이, 버번위스키 등 일부 품목에 관세를 낮췄고, 디지털세도 없앴다. 전기차 관련해서도 테슬라 진출 등을 고려해 관세 인하를 검토 중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를 아시아 전체보다 인도가 적은 타격을 받았다고 분석한다. 글로벌무역연구이니셔티브는 “이번 관세 개편이 인도가 글로벌 제조업 중심지로 도약할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2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FADO

00:27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FADO

2025.04.05 00:28:02

탁월한 분석이에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FADO

2025.04.05 00:28:0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