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BTC), 글로벌 결제수단 부상? 반에크 '트럼프 관세가 촉매될 것'

작성자 이미지
손정환 기자
1
2

반에크는 트럼프의 고관세 정책이 비트코인의 글로벌 결제 확산을 촉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中·러 무역 흐름과 에너지 시장 활용이 그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비트코인(BTC), 글로벌 결제수단 부상? 반에크 '트럼프 관세가 촉매될 것' / TokenPost Ai

자산운용사 반에크(VanEck)의 디지털자산 리서치 총괄 매튜 시걸(Matthew Sigel)은 최근 보고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심화될 경우, 비트코인(BTC)이 기존의 투기성 자산을 넘어 글로벌 결제 수단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시걸은 특히 중국과 러시아의 최근 무역 사례를 언급하며, 이들 국가가 미 달러 및 미국 주도의 금융 시스템을 우회하기 위해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결제를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무역과 금융 인프라의 무기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정치·경제적으로 중립적인 결제 수단으로 주목받는 것이 비트코인”이라며, 이러한 흐름이 암호화폐 수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볼리비아의 전력 수입 프로젝트에 암호화폐가 도입될 예정이라는 점과 함께, 프랑스 국영 기업이 독일에 수출되는 초과 전력으로 비트코인 채굴 가능성을 타진 중이라는 사례도 함께 소개했다. 이는 에너지 시장에서도 BTC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시걸은 투자자들이 주시해야 할 핵심 지표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융 정책을 지목했다. 특히 금리 인하, 유동성 확대 등 완화적 금융 기조가 비트코인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달러 가치의 강세·약세 흐름을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DXY)’를 핵심 지표로 선정하며, 달러 약세가 지속되면 BTC는 글로벌 헤지 수단으로 한층 각광받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그는 비트코인 상장지수상품(ETP)의 자금 유입 흐름, 온체인 데이터, 중국 및 유럽연합이 전개 중인 보복 관세 정책의 전개 양상 등을 시장 판단의 주요 변수로 평가했다.

특히 10년물 미국 국채 수익률의 상승이 예전보다 비트코인 가격에 주는 영향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는 시장이 점차 비트코인을 ‘디지털 자산’으로 받아들이며, 금리 외 요인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분석이 트럼프 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이 세계 경제의 긴장을 촉발하는 가운데, 비트코인이 점진적으로 제도권 자산으로 진입하고 있다는 흐름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하고 있다. 각국의 결제 인프라가 분산되고 있는 시기에 암호화폐의 시스템적 대체 가능성은 한층 확대되고 있는 셈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1

추천

2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바다거북이

2025.04.10 12:33:0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