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이 다시 격화되며 소비자와 기업, 나아가 미국 제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파장이 우려되고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145%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다른 국가들에 대해서는 일시적으로 관세 적용을 유예하면서 전선이 더욱 명확히 그어졌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미국 소비자에게 단기적인 가격 상승이라는 ‘직격탄’을 안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의 경제학자 크리스토퍼 콘론 교수는 타깃, 월마트, 아마존과 같은 유통업체에서 판매되는 중국산 상품의 상당수가 곧장 가격 인상을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장난감, 가전제품, 의류 등은 특히 그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이며, 관세 인상분만큼 소비자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콘론 교수는 “여유 자금이 있다면 지금 일부 가전제품이나 장기 사용이 가능한 생활용품을 미리 구입해두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이번 조치의 본질은 미국 내 제조업 부활이라는 목표에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 내 공장 설립을 유도함으로써 20세기 중반 미국이 전 세계 제조 중심지로 군림하던 시절을 다시 만들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히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런 전략이 현실적으로 맞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조지아주립대학교의 공급망 및 운영관리 전문가 시나 골라라 교수는 생산의 완전한 복귀가 어려운 이유로 비용 구조를 제시한다. 그는 "지금처럼 높은 관세를 적용해도 미중 간 생산 비용 차가 워낙 크기 때문에 미국에서 공장을 세우는 것이 여전히 비효율적이다"라고 분석했다. 여기에 수십 년간 축적돼 온 중국의 부품 공급 인프라와 인건비 격차 역시 극복이 쉽지 않은 장애물이다.
더욱이 미국에서 생산을 하더라도 다른 부품을 외국에서 수입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관세가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여기에 중국 역시 반격 태세를 갖추고 있다. 중국 정부는 미국 기업 제품의 수입을 중단하거나, 원료 수출을 제한하는 등의 맞대응 조치에 나섰고, 이는 미국 기업들의 공급망 안정성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시장 전문가들이 바라는 바는 미중 양국이 협상을 통해 관세 철폐에 합의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처럼 관세가 예고 없이 들쑥날쑥 발표되는 상황에서는 기업들도 전략을 짜기 어려운 형국이다. 골라라 교수는 “이런 식의 상호 보복성 조치는 결과적으로 모두에게 피해를 입히는, 일종의 상호 파괴적 상황을 만들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무역 전쟁의 장기적 귀결은 아직 미지수다. 그러나 당장의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기업의 혼란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고율 관세로 인한 단기적 부담이 결국 미국 제조업의 체질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 시장은 신중하게 결과를 지켜보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