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4월 2일을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명명하고, 수천억 달러 규모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발효하겠다고 밝히면서 투자자들 사이에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 미국 최대 교역국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한 이 조치로 인해 소비자 및 투자 심리는 수년 내 최저 수준까지 하락했고, 시장은 인플레이션 심화와 기업 수익성 악화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동시에, 러시아·중국·이란·북한이 주도하는 권위주의 연합체 ‘CRINKs’ 국가들은 급속하게 경제 협력을 늘리며 미국 달러를 배제한 거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탈달러화(de-dollarization)* 흐름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관측된다. 국가 간 거래에서 달러 의존도를 줄이려는 시도가 실질적인 성과를 내면서, 그간 미국이 누려온 기축통화의 지위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는 평가다.
시장에서는 이번 보호무역 강경 조치로 미국 경제가 새로운 국면에 진입한다고 보고 있다. 수입품에 대한 전방위적 관세 부과는 단기적으로 제조업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자국 소비자 및 다국적 기업들의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미국 상무부는 섹션 232 조항을 근거로 국가안보 차원의 조치임을 강조하고 있지만, 국제사회에서는 사실상의 보호무역주의 회귀로 해석되며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글로벌 투자자들은 이른바 ‘해방의 날’을 앞두고 자산을 방어적으로 재배치하며 주식, 특히 기술주 중심의 매도세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달러 가치 약세가 지속되면 자본 유출과 연준의 통화정책 대응력 제한 등도 동반될 수 있어, 외환시장 변동성도 커질 전망이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 2기 동안 강화되고 있는 ‘아메리카 퍼스트(America First)’ 경제정책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조가 향후 국제교역 구조 및 통화 질서 재편에 장기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으며, 특히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달러 약세가 비트코인(BTC) 등 대체 자산에 대한 수요를 촉진할 수 있는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