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 데드크로스 경고… 진짜 약세장 시작일까, 또 하나의 미끼일까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2
3

비트코인이 데드크로스를 형성하며 장기 하락 가능성이 제기됐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하락 신호냐, 반등의 기회냐를 두고 의견이 엇갈린다.

비트코인 데드크로스 경고… 진짜 약세장 시작일까, 또 하나의 미끼일까 / TokenPost AI

비트코인이 일일 차트에서 ‘데드크로스(death cross)’를 형성하면서 시장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데드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50일)이 장기 이동평균선(200일)을 하향 돌파하는 기술적 패턴으로, 전통적으로 추세 반전과 장기간 하락세를 암시하는 경고 신호로 간주돼 왔다. 비트코인은 4월 6일 해당 신호를 나타냈으며,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는 시점과 맞물려 우려를 키우고 있다.

최근 주식 시장은 새로운 관세전의 조짐으로 흔들리는 중이고, 시장 변동성은 높아졌으며 투자심리는 위축되고 있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비트코인의 데드크로스는 단기 반등 기대에 종지부를 찍는 신호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로 기존 투자자들 중 일부는 이미 손절매나 포기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모든 분석가가 비관적인 전망을 공유하는 것은 아니다. 역사적으로 비트코인은 총 11번의 데드크로스를 경험했으며, 이 가운데 일부는 강한 하락세의 전조였지만 나머지는 오히려 저점에서 반등을 예고하는 신호로 작용했다. 특히 2014년, 2018년, 2022년에 나타난 세 번의 데드크로스는 각각 9~13개월에 걸친 장기간 약세장을 동반했으며, 가격은 최대 68%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반면 나머지 7번은 기간이 짧고 하락 폭도 상대적으로 완만했다. 이들 대부분은 1.5개월에서 최대 3.5개월가량 지속되며, 가격 하락률은 27% 미만이거나 아예 없기도 했다. 일부는 반등의 출발점이었다는 점에서 현재 상황이 단순한 ‘약세장의 함정’일 수 있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대표 주기영은 이번 데드크로스를 단기 조정이 아니라 보다 장기적인 하락의 시작으로 해석했다. 그는 “비트코인 시가총액과 실현 시가총액 간 괴리가 벌어지고 있는 점은 고전적인 하락 신호”라고 강조하며,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정한 반등까지는 통상 6개월 이상이 걸린다”고 덧붙였다. 현재 자본 유입은 지속되고 있지만 가격이 오르지 않는 상황은 과거 약세장 시작과 유사하다는 분석이다.

다만 시장 일각에서는 이번 데드크로스가 오히려 ‘반등을 유도하는 미끼’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암호화폐 전문 분석가인 ‘미스터 크립토(Mister Crypto)’는 “또 다른 덫이 놓였다. 이 반등은 2025년 가장 미움을 살 반등이 될 것”이라며 최근 차트 상에서 발견된 유사한 사례들을 언급했다. 그는 과거 데드크로스가 오히려 매수 기회가 되었던 시점을 짚으며, 지나친 비관론에 경계했다.

코인셰어(CoinShares) 리서치 책임자 제임스 버터필(James Butterfill) 역시 데드크로스의 실효성에 회의적인 입장이다. 그는 “데드크로스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통계적으로 전혀 의미 없는 해석”이라며 “오히려 평균적으로 데드크로스 이후 한 달 뒤에는 비트코인 가격이 3% 정도만 하락하거나 상승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일부 경우에는 가격이 반전 상승하기도 했다.

한편 비트코인 외에도 위험 지표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나스닥100 지수와 S&P500 지수 역시 데드크로스를 형성할 위기에 있고, 애플(AAPL), 마이크로소프트(MSFT), 엔비디아(NVDA), 알파벳(GOOGL) 등의 대표 기술주 상당수는 이미 데드크로스를 경험하거나 이에 근접해 있다. 증시에 퍼지는 불안 신호가 비트코인에도 연쇄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배경이다.

결국 현재의 비트코인 추세가 일시적 조정인지, 아니면 본격적인 약세장의 시작인지는 아직 판단하기에는 이르다. 다만 과거 사례와 설명되지 않는 변동성 사이에서, 투자자들은 예의주시와 분산된 해석 사이에서 딜레마에 놓여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2

추천

3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3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엠마코스모스

09:34

등급 아이콘

토큰부자

08:31

등급 아이콘

스타제이

07:01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5.04.16 09:33:5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4.16 08:31:28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