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피터 쉬프 '트럼프 관세정책 지속되면 소매업 파산, 은행 위기... 시장 50% 폭락할 것'

작성자 이미지
김하린 기자
0
0

유명 경제학자 피터 쉬프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계속되면 소매업체 파산과 은행 위기를 촉발해 시장이 50% 이상 폭락할 수 있으며, 이것이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기침체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피터 쉬프 '트럼프 관세정책 지속되면 소매업 파산, 은행 위기... 시장 50% 폭락할 것' / 셔터스톡

경제학자이자 금 옹호론자인 피터 쉬프(Peter Schiff)가 4월 8일 소셜미디어 플랫폼 X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계속되면 미국 소매 산업이 붕괴되고 깊은 경제 침체를 촉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8일(현지시간) 비트코인닷컴뉴스에 따르면, 유로 퍼시픽 자산 관리(Euro Pacific Asset Management)의 수석 경제학자이자 글로벌 전략가인 쉬프는 무역 장벽이 파산, 해고, 상업 대출 불이행의 도미노 효과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트럼프의 관세가 유지된다면, 소매업 파산의 물결이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쉬프는 어려움을 겪는 소매업체들이 매장을 폐쇄하고 일자리를 줄임에 따라, 상업용 임대인들은 빈 부동산을 떠안게 되고, 은행들은 불이행된 소매업 대출로 부담을 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경제학자는 또한 소비자 가격이 판매량 감소와 변하지 않는 간접비 때문에 관세의 추가 비용을 넘어서 어떻게 급증할 수 있는지 설명했다. "결국, 미국에는 훨씬 더 적은 소매 사업체만 남게 될 것이다. 그들은 상품을 훨씬 적게 판매하겠지만, 훨씬 더 높은 가격으로 그렇게 할 것이다. 소매업체들이 더 낮은 판매량에 고정 비용을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은 관세보다 더 많이 오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소매 판매의 붕괴는 우리의 무역 적자를 낮출 것이며, 이는 트럼프의 목표다. 미국인들이 더 이상 구매할 여유가 없는 모든 상품은 더 이상 수입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이긴다." 쉬프는 수입 감소가 미국의 무역 적자를 줄일 것이라고 인정했지만, 이를 약화된 소비자 지출을 통해 얻은 피루스의 승리로 해석했다.

4월 7일 이전 논평에서, 쉬프는 금융 시장이 여전히 위험할 정도로 과대평가되어 있으며 그가 예상하는 종류의 불황에 대비하지 못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주식 시장은 관세가 유지될 경우 예상되는 불황을 가격에 반영하지도 못했다. 시장 하락에도 불구하고 불황을 피한다는 가정 하에서도 여전히 비싸다. 이것이 대공황 이후 최악의 불황이 될 것이기 때문에, 50%의 하락조차도 충분하지 않다"라고 말했다.

금 옹호론자는 또한 관세에 대한 트럼프의 논리를 비판하며 "트럼프의 관세는 잘못된 해결책"이라고 직설적으로 말했다. 쉬프에 따르면, 무역 적자 뒤에 있는 실제 문제는 불공정한 글로벌 관행이 아니라 미국 경제 자체의 근본적인 약점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