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분석 "'이더리움 킬러' 자처하던 프로젝트들, 다 망했다"

작성자 이미지
Coinness 기자
0
0

텔레그램 채널 크립토 번역공장이 암호화폐 인플루언서 IGNIS의 '이더리움(ETH) 킬러를 자초한 암호화폐 11종의 근황' 포스팅을 번역해 전했다. IGNIS는 "이더리움 킬러는 남이 신경쓰지 않는 틈새시장을 찾는 게 아니면 곧 죽을 레이어1의 마케팅 용어다. 이더리움은 아래 암호화폐들을 손도 안 댔는데 다 매장시켰다"고 평가했다. 아래는 코인니스가 정리한 내용.


1. 이오스(EOS·현 볼타): ETH보다 더 빠르고 수수료도 싼 체인이라며 출시됐지만 그보다 더 빠른 속도로 사라졌다. 개발자와 이용자도 모두 사라졌다.

2. 트론(TRX): USDT가 이더리움 코드를 써서 자금세탁 하는 데 쓰는 암호화폐다.. 개발자도 떠나고 가짜 거래량만 남았다.

3. 네오(NEO): 중국의 이더리움이라 불렸지만 2017년 기준이다. 어쩌다가 누가 "NEO 아직 살아있나요?"라고 부르지만 "숨만 붙어있을 듯"이라는 답이 돌아온다.

4. 카르다노(ADA): 탈중앙화 실버타운이다. 개발자 활동이 있긴 하다. 그래도 홀더들 스테이킹은 무난한 편이다.

5. 폴카닷(DOT): 파라체인인데 이용자가 없다.

6. 멀티버스엑스(EGLD): 모바일 게임 광고 체인으로밖에 안 느껴진다.

7. 알고랜드(ALGO): MIT 박사가 만든 아무도 안 쓰는 체인이다.

8. 테조스(XTZ): 너무 고지식하다. NFT 보유자들은 가스비가 2센트라는 것 때문에 남아있지만 이들도 대부분 떠난 듯하다.

9. 아발란체(AVAX): 이더리움 킬러라고 포부를 폈지만 아발란체 서브넷 킬러가 돼버렸다. 벤처캐피털(VC)들의 돈이 망한 영화가 넷플릭스에 올라오는 속도보다 빠르게 말라가고 있다.

10. S(소닉·구 팬텀): 안드레 크로녜(설립자)의 감정기복 심한 프로토콜이다. 디파이 시즌에는 참 잘 했지만 안드레가 화나서 나갔다. 그리고 돌아왔다. 그리고 또 다시 나갔다.

11. 솔라나(SOL): 이더리움 킬러인데 자폭을 7번 했다. 역사상 가장 빠른 체인인데 자기 서버를 가장 빠르게 끄는 걸 곁들였다. 이더리움 킬러에서 밈코인 대세 플랫폼으로 리브랜딩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