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이더리움 연구원 '비트코인은 끝났다' 발언 논란

작성자 이미지
강이안 기자

2025.02.10 (월) 13:06

대화 이미지 3
하트 이미지 5

이더리움 연구원 저스틴 드레이크가 비트코인의 공급 한계를 지적하며 '비트코인은 끝났다'고 발언해 논란이 됐다. 비트코인 분석가 제임스 첵은 이에 반박하며 보안과 경제적 인센티브를 강조했다.

이더리움 연구원 '비트코인은 끝났다' 발언 논란 / Tokenpost

이더리움(ETH) 연구원인 저스틴 드레이크(Justin Drake)가 비트코인(BTC)의 공급 한계를 지적하며 "비트코인은 끝났다"고 발언해 논란이 되고 있다. 그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발행량 차이를 비교하며, 이더리움이 머지(The Merge) 이후 ‘초음파 머니(Ultra Sound Money)’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5일(현지시간) 드레이크는 소셜미디어 X를 통해 "이더리움이 다시 초음파 머니가 되려면 발행량이 줄어들거나 소각량이 증가해야 한다"며 "두 가지 모두 일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더리움은 2022년 머지 이후 디플레이션 자산이 됐지만, 올 4월 덴쿤(Dencun) 업그레이드 이후 네트워크 수수료 감소로 인해 공급량이 다시 증가했다.

드레이크는 비트코인의 공급량 증가 속도를 문제 삼았다. 덴쿤 업그레이드 이후 비트코인은 65만 5,000 BTC가 추가 발행된 반면, 이더리움은 46만 2,000 ETH가 새롭게 유통됐다. 특히 현재 가격 기준으로 비트코인 추가 공급량은 약 635억 달러(약 92조 1,750억 원)에 달하는 반면, 이더리움은 약 12억 5,000만 달러(약 1조 8,125억 원)에 그친다. 그는 "현재 비트코인의 연간 공급 증가율이 0.83%로 이더리움보다 66% 빠르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비트코인의 2,100만 개 공급 한도가 장기적인 보안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채굴자 수익의 99%가 블록 보상에 의존하고 있으며, 거래 수수료 수익이 1%에 불과하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국가가 51% 공격을 감행하는 데 약 100억 달러(약 14조 5,000억 원)와 10GW의 전력이 필요하다"며 비트코인의 보안이 취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비트코인 분석가 제임스 첵(James Check)은 코인텔레그래프에 "비트코인을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보는 시각은 에너지 효율성, 채굴 기술 발전, 경제적 인센티브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며 반박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금과 유사한 ‘준비 자산’으로 자리 잡을 경우 높은 수수료가 필연적이며, 이는 네트워크 보안 유지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첵은 또한 "핵융합 발전이나 낭비 에너지를 활용한 채굴 기술 발전 등이 비용 절감을 이끌 것"이라며, 일부 전력망에서는 비트코인 채굴을 수익성보다는 에너지 수급 균형을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드레이크 본인도 이더리움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과도한 스테이킹이 ETH의 ‘완전 담보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으며, 리도(Lido) 같은 리퀴드 스테이킹 플랫폼이 시스템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크루아상 발행(Croissant Issuance)’ 모델을 제안했는데, 이는 스테이킹 비율이 50%를 초과하면 발행량이 줄어들고 연간 최대 1%의 발행 한도를 설정해 시장 내 균형을 맞춘다는 개념이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간 ‘사운드 머니(Sound Money)’ 논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두 자산의 발행 정책과 보안 강점에 대한 논쟁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3

추천

5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다사랑

2025.02.10 20:49:0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위당당

2025.02.10 16:21:2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02.10 13:43:1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