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발표한 전면적 수입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현재까지 경기침체가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주요 이코노미스트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경제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연준 제롬 파월(Jerome Powell) 의장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시점과 상관없이 어떤 경우에도 경기침체의 확률은 약 25% 수준으로 존재한다”며, 이번 관세 조치가 그 확률을 더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와 JP모건, 무디스 애널리틱스 등은 관세 발표 전보다 경기가 침체에 이를 확률을 각각 10~20%포인트 높여 전망치를 조정했다. 예를 들어 JP모건은 경기침체 가능성을 40%에서 60%로 상향 조정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관세만으로는 경기 침체를 유도하지 못할 수 있다고 보면서도, 만약 무역 상대국들이 보복관세로 대응하고 미국 소비자들이 지출을 억제하게 될 경우 이는 심각한 경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웰스파고는 보고서를 통해 “현 단계에서 양국 간 보복관세가 고착화되면 미국이 경기침체를 피하기 어렵다”며 특히 해외의 강력한 대응이 변수라고 강조했다.
모건스탠리는 이번 관세 조치로 글로벌 경기 둔화까지 초래될 수 있는 ‘약세 시나리오’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가 단기적으로는 자국 산업 보호에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소비 둔화, 투자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관세 효과가 물가에 미칠 파장도 우려된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평균 25% 수준의 수입세가 자동차, 소비재, 전자제품 등에 적용되며 미국 가정당 연간 약 3,800달러(약 550만 원)의 추가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 바 있다.
이처럼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인 무역정책이 가져올 부작용에 대한 경고음이 커지는 가운데, 시장은 향후 무역 협상의 전개와 미 연준의 대응, 소비 심리 변화 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현재 미국 경제는 아직 침체 국면에 접어들지 않았지만, 여러 매크로 지표들에 위험 신호가 감지되면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평가가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