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투자시장 대표적 강세론자인 아서 헤이즈(Arthur Hayes)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긴축에서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전환할 경우, 비트코인(BTC)이 2025년 말까지 25만 달러(약 3억 6,500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시장 전반은 여전히 보수적 가격 전망에 무게를 두고 있다.
비트멕스(BitMEX) 공동 창립자이자 현재 메일스트롬(Maelstrom) 최고투자책임자인 헤이즈는 1일 자신의 서브스택 글을 통해 "연준이 양적긴축(QT)을 종료하고 미 국채 중심의 양적완화(QE)로 전환할 경우, 비트코인은 지난달 기록한 7만 6,500달러가 저점이었으며 이제 연말까지 25만 달러 상승 구간이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연준은 4월 1일부터 국채 축소 속도를 종전의 월 250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로 대폭 낮췄으며, 주택저당증권(MBS) 축소는 기존 수준인 월 350억 달러를 유지했다. 제롬 파월(Jerome Powell) 연준 의장은 향후 MBS 축소분을 재투자 없이 자연 감축시키되, 잉여 원금은 국채 매입에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헤이즈는 "수학적으로는 연준의 자산 규모가 유지되지만, 본질적으로 이는 국채 기반 QE 시행"이라며 "공식 발표가 나면 비트코인은 강하게 상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암호화폐 전문 애널리스트 제이미 쿠츠(Jamie Coutts)는 글로벌 통화공급 증가 추이를 감안할 때, 비트코인이 올해 안에 13만 2,000달러(약 1억 9,300만 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러나 탈중앙화 예측시장 폴리마켓(Polymarket) 데이터에 따르면, 참가자의 9%만이 비트코인 25만 달러 도달에 베팅한 반면, 60%는 11만 달러 수준을 가장 유력한 고점으로 보고 있다.
헤이즈는 최근 7만 6,500달러부터 9만 달러 사이 범위에서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을 지속적으로 매수해왔다며, 자신의 전망이 현실화될수록 매수 강도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BBC가 파월 의장을 제압했기 때문에, 연준은 시장에 달러를 쏟아부을 것"이라며 "이 상황은 시진핑으로 하여금 위안화 방어를 위해 중국 인민은행의 긴축 완화를 유도할 수 있어, 전체 유동성이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장은 여전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4월 2일 발표 예정인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 속에서 압박을 받고 있다. 암호화폐 투자 플랫폼 넥소(Nexo)의 편집 책임자 스텔라 즈라타레바(Stella Zlatareva)는 "장기적 포지션은 유지되고 있으나, 단기적 모멘텀은 거시경제 뉴스에 좌우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