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 비트코인(BTC) 수익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 GOAT 네트워크가 NFT 마켓플레이스 선두주자인 라리블(Rarible)과 손잡고 자체 NFT 플랫폼 'GOATible'을 공식 출시했다. 이번 제휴는 GOAT 네트워크 생태계의 NFT 활용도를 확장하고, 사용자 참여 유도에 중점을 두고 있다.
GOATible은 라리블의 화이트라벨 기술인 'RaribleX'를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다양한 체인을 지원하는 NFT 발행 및 거래 허브로 설계됐다. 이번 런칭과 함께 'Big Mint'라는 타이틀 아래 GOAT 콘셉트의 예술작품이 독점 공개되며 관심을 끌고 있다. GOAT 네트워크는 전 세계 아티스트들이 'Unlock Your Greatness(너의 위대함을 열어라)'라는 메시지를 담은 창작물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수 있도록 장려할 방침이다.
라리블의 소비자 제품 부사장 린 알 타헤르(Leen Al-Taher)는 “지속 가능한 비트코인 수익을 최초로 제공하는 체인인 GOAT는 현실적인 온체인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빠르게 확장 중”이라며 “이번 파트너십은 웹3 대중화라는 라리블의 비전과 부합한다”고 전했다.
이번 협업은 GOAT 네트워크의 메인넷 알파 출시 이후 발표된 'One Piece 프로젝트'의 연장선에 있다. 해당 프로젝트는 사용자가 SBT(영혼결속형 토큰)를 민팅한 뒤 GOAT 생태계의 BTCFi, GambleFi, 게임 등 다양한 디앱을 이용해 리워드 포인트를 쌓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첫 시즌 참여자들은 유니스왑 v3의 고급화 버전인 '오쿠(Oku)', 디파이 파생 플랫폼 'GOATSwap', 그리고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 'Artemis Finance' 등에서 거래와 활동을 통해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GOAT 네트워크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케빈 리우(Kevin Liu)는 “GOATible 아이디어를 구상했을 때부터 우리가 염두에 둔 NFT 마켓플레이스가 바로 라리블이었다”며 “신진 작가와 커뮤니티가 창작 및 거래에 참여할 탄탄한 기반을 마련한 데 매우 고무돼 있다”고 밝혔다.
한편 라리블은 15개 이상의 블록체인을 지원하는 NFT 종합 플랫폼으로,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200건 이상의 작가 드롭과 총 90만 건 이상의 NFT 거래를 성사시킨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GOAT 네트워크는 탈중앙 시퀀서와 멀티코인 지분증명(Proof of Stake) 구조를 도입하여 지속 가능한 BTC 수익 구조를 지향하며, 비트코인과 도지코인의 자본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BTCFi 및 밈파이(MemeFi) 프로젝트 전반에 걸친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