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을 보유한 투자자들이 실물자산에서의 수익 기회를 손쉽게 접할 수 있는 플랫폼이 등장했다. 비트코인 기반 유동성 프로토콜 얄라(Yala)가 4일 실물자산 수익률을 제공하는 마켓플레이스 '리얼일드(RealYield)'를 발표했다. 얄라는 이번 플랫폼을 통해 BTC 홀더들이 미국 국채, 부동산, 민간대출 등 실물 기반 금융 상품에 투자하며 규제에 부합한 조정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얄라 리얼일드는 다양한 실물자산 기반 수익 상품을 비교, 결합하며 자신만의 맞춤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통합형 대시보드를 제공해 복잡한 절차 없이 누구나 BTC를 바탕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얄라 측은 이를 통해 지금까지 기관과 고액 자산가에만 허용됐던 수익 전략을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일반 투자자에게 *민주화*하는 데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얄라의 최고운영책임자 카이타이 창(Kaitai Chang)은 "실물자산은 블록체인 금융에서 다음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며 "리얼일드는 BTC 보유자들이 탈중앙 금융 생태계를 이탈하지 않고도 지속 가능하고 투명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얄라 리얼일드는 미국 국채, 부동산, 민간 대출 등 위험도 및 만기, 수익률이 상이한 다양한 상품들로 구성된 시장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투자자는 투자 기간이나 목표 수익률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수 있으며, 모든 상품은 BTC로 구매가 가능하다. 또 이 플랫폼은 실물자산에 대한 법적 검토도 거쳐 규제 준수 수준을 강화했다. 특히 기관 참여를 위한 멀티시그 커스터디, 온체인 거버넌스, 허가형 액세스 등도 제공한다.
플랫폼 내 수익 상품은 정량화된 위험 등급과 기간 정보를 바탕으로 APY(연 수익률)를 제공하며, 조만간 리얼월드어셋(RWA) 전용 금고를 통한 분산 투자 모델도 도입될 예정이다. 이 구조는 전통 금융의 자산 배분 전략을 웹3의 컴포저빌리티로 재구성한 방식이다.
얄라 측은 리얼일드 출시가 BTC의 유휴 유동성을 실물 금융시장으로 연결하는 시작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RWA 시장 규모는 수 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돼, 얄라의 이번 시도가 시장 확장성과 지속성 측면에서 전략적 통찰을 담고 있다는 평가다.
카이타이 창은 "BTC는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가장 활용도가 낮은 유동성 자산 중 하나"라며 "이번 리얼일드를 통해 BTC를 규제 친화적이고 안정적인 수익 상품과 연결함으로써, 진정한 실제 수익을 실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얄라는 리얼일드 플랫폼에 추가 파트너십과 개발자 도구를 도입할 예정이다. 특히 실물자산 담보 포지션을 활용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기능까지 포함함으로써, 디파이와 전통 금융 사이에 보다 밀접한 연결고리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