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기차 폐배터리를 모아 도내에서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2회 블록체인 진흥주간 컨퍼런스에서 한영수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전략과 과장은 제주도가 개발 중인 '블록체인 기반 폐배터리 유통이력 관리 시스템'에 대해 소개했다.
제주도 폐배터리 유통이력 관리 시스템 사업은 올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관하는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 과제로 선정됐다.
한 과장은 "블록체인 기반 전기차 폐배터리 유통이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도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게 사업 목표"라고 설명했다.
제주도는 풍력발전을 통해 얻은 전력을 전기자동차에 활용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내연기관 자동차 전체를 전기자동차로 바꾸겠다는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제주도는 전기차 대수가 1만 6352대로, 국내 전기차의 25% 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에 전기자동차는 최소 5년, 10km를 주행하면 배터리 성능이 20~30% 가량 감소해 전기자동차에 활용하기에는 내구 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정한다. 결국 전기차가 보급된 만큼 폐배터리가 쌓이게 되고, 개당 300kg에 달하는 폐배터리는 이를 처리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주도는 잔류전력량이 70%에 달하는 폐배터리를 모아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를 구축해 재사용하는 사업 모델을 개발했다.
한 과장은 "전기차 폐배터리가 믿을만한지, 앞으로 얼마나 사용할 수 있을지 등의 정보를 투명하게 확인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라며 "이를 위해 폐배터리 수명을 측정하고 등급을 매겨 블록체인 상에 올리는 작업을 1년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폐배터리가 어떤 차종에서 어떻게 사용됐는지, 잔류전력량은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올려 검증한다. 노드로는 제주도청, 제주테크노파크, 배터리 유통업체, 폐기물재활용업체 등이 참여한다. 이를 바탕으로 A부터 F까지 등급을 부여해 유통과정에서 신뢰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한 과장은 "양질의 재사용 배터리를 활용한 ESS를 보급해 2025년까지 17만개 모듈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900MWh의 전력공급이 가능하고, 이는 도내 전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번 사업은 블록체인을 통한 서비스로 시민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부분도 있지만, 무엇보다 도의 에너지 자립화 방안을 찾다가 나온 결과물"이라며 "국가기술표준원과 연계해 ESS 모델 표준을 확립하고 안정성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