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저녁브리핑] 가상자산 거래소 매출 1兆 독주…블록체인 산업은 '뒷걸음' 外

작성자 이미지
하이레 기자

2025.02.10 (월) 17:00

대화 이미지 2
하트 이미지 5

셔터스톡

분석 "BTC 주요 온체인 지표, 약세 시그널 전환"
코인데스크가 "비트코인 주요 온체인 지표가 약세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등으로 인해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디어는 BTC 주봉 차트 기준 MACD(이동평균 수렴확산 지수) 히스토그램이 음수 전환 됐다. 약세 시그널이다. 이 가운데 여러 거시적 요인이 하락 및 변동성 확대를 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엑스링크, 프로젝트 성장 지원 '셀프-서비스 포털' 출시 예고
웹3 소셜 플랫폼 유엑스링크(UXLINK)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UXLINK 소셜 그로스 레이어 및 OAOG 프로토콜 기반의 셀프 서비스 성장 포털을 출시한다"고 전했다. 유엑스링크는 "해당 포털은 프로젝트 성장 지원을 목적으로 하며, 전체 프로세스가 셀프 서비스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협력 플랜 ▲스마트 알고리즘을 통한 사용자 타겟팅 ▲UXLINK 결제 지원 및 트랜잭션 해시 검증 등을 특징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AI 기능을 통합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를 더욱 간소화하고, UXLINK 원 및 OAOG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ETH, SOL, TON, BSC, BASE, ARB 등 메인 레이어1 및 레이어2 네트워크를 지원할 방침이다"고 부연했다.

분석 "BTC 선물 가격 급등 시 대량 청산 뒤따를 것"
온체인 분석 업체 글래스노드 공동 설립자 얀 하펠과 얀 알레만의 X 계정 네겐트로픽(Negentropic)이 "BTC 선물 대 현물 거래량 비율이 연중 최저치를 기록 중이다. 현재 BTC는 10만 달러 돌파를 위한 핵심 구간인 9.72만~9.85만 달러선 회복을 위해 고전 중인데, 이 상황에서 선물 가격이 급등하면 더 많은 강제청산과 가격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다"고 전했다.

분석 "토큰 발행 예정 프로젝트, 상장 후 80% 하락 대비"
약 2.5만명의 X 팔로워를 보유한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AB Kuai.Dong(@_FORAB)이 X를 통해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이 과도하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벤처캐피털(VC)들이 투자한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토큰 가격이 상장 후 80% 이상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개인 투자자뿐만 아니라, 기관, 노드 구매자, 지분 보유자들도 신규 토큰이 상장된 후 매도 포지션을 취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매도는 언락 후 가격 하락을 방어하려는 헤징의 일환이다. 또, 2020~2021년 벤처캐피털이 큰 투자 수익을 거뒀지만, 이같은 흐름은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에 종료될 가능성이 있다. 만약 이러한 상황이 현실화된다면, 암호화폐 시장은 바닥을 형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폴리마켓서 슈퍼볼 베팅 규모 $11억 도달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탈중앙화 예측시장 플랫폼 폴리마켓 유저들의 슈퍼볼 베팅 금액이 11억 달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는 "폴리마켓의 스포츠 관련 베팅 규모가 60억 달러를 넘어서 미국 선거 관련 베팅 규모(52억 달러)를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보안업체 "중아공 자체 밈코인 CAR 미심쩍다"
블록체인 전문 보안업체 슬로우미스트의 설립자 Cos(余弦)가 X를 통해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발행했다는 밈코인 CAR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밈코인 TRUMP보다 훨씬 출시 과정이 조잡해보인다. 현재 공식 웹사이트는 아직도 열리지 않고 있다. CAR는 미국 도메인 등록 업체 네임칩(Namecheap)에 4일 전에 등록됐으며, 대부분 자금 출처는 바이낸스다. CAR의 공급량 중 약 80%가 발행자와 관련된 6개 주소에 분배돼 있고, 락업 물량 세부 사항도 검증되지 않았다. 정보가 불투명한 곳에서는 온갖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앞서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포스탱아르캉주 투아데라(Faustin-Archange Touadéra)는 X를 통해 밈코인 발행 소식을 전한 바 있다. 코인텔레그래프는 투아데라가 등장한 동영상이 딥페이크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를 내놓기도 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9.37% / 숏 50.63%
1.바이낸스: 롱 48.85% / 숏 51.15%
2.바이비트: 롱 49.36% / 숏 50.64%
3.비트겟: 롱 50.01% / 숏 49.99%

금융당국, 오늘 업비트 3차 제재심 개최
뉴시스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이 10일 고객확인제도(KYC) 위반 등 자금세탁방지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업비트와 관련 3차 제재심의위원회를 개최한다. FIU는 지난달 21일 2차 제재심을 열었으나 최종 결론을 내리지 못한 바 있다. 3차 제재심에서는 FIU와 업비트 간의 본격적인 대심제(감독당국과 제재 대상자(금융사)가 동석해 제재 수위를 두고 치열하게 법리를 다투는 제도)가 진행될 예정이다.

히벨로우, 애니모카 브랜드로부터 전략적 투자 확보
탈중앙화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DePIN, 디핀) 기업 히벨로우(Hivello)가 애니모카 브랜드가 주도하는 펀딩 라운드에서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투자금은 공개되지 않았다. 히벨로우는 조달 자금을 디핀 노드 단순화 및 접근성 강화에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99억 코인 은닉' 의혹 김남국 전 의원 무죄
한국일보에 따르면, 국회의원 시절 99억 원에 달하는 가상자산 보유 사실을 숨기려 허위로 재산을 신고한 혐의로 법정에 선 김남국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앞서 검찰은 김 전 의원이 2021년과 2022년 국회의원 재산 신고 때 코인 투자로 거액의 수익을 올려 예치금이 99억 원에 달하자 이를 숨기려 허위로 재산 신고를 했다고 보고 기소한 바 있다.

XRP 무기한 선물 미결제 약정 급감
코인글래스 데이터에 따르면, 엑스알피(XRP)의 무기한 선물 미결제 약정(OI)이 10일 14시35분(한국시간) 기준 34.3억 달러 규모를 기록 중이다. 지난 1월 18일 9시 최대치(76.2억 달러 규모) 대비 약 55% 감소한 수치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3.20% 내린 2.4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2240억 돌파
디파이라마 데이터 따르면 전체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이 전주 대비 3.12% 증가한 2240억 달러를 돌파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현재 전체 스테이블코인 시총은 2,242.11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VC "올해 암호화폐 업계간 대규모 M&A 증가"
DL뉴스가 자본시장 리서치 업체 피치북(PitchBook) 데이터를 인용, "암호화폐 벤처캐피털(VC) 업계에서 인프라 제공업체, 거래소, 커스터디 기업 간 인수합병(M&A)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올해 AI와 스테이블코인 부문이 VC들의 주요 투자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다. 현재 AI-크립토 시장 규모는 550억 달러에 달하며, 2030년까지 글로벌 경제에 20조 달러를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테이블코인 역시 규제 명확성을 위한 입법 절차가 본격화하면서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분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엑스링크, 오늘 UXLINK 국내 홀더 인증 에어드롭 신청 마감
웹3 소셜 플랫폼 유엑스링크(UXLINK)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2월 10일 16시 국내 UXLINK 보유자 대상 에어드롭 신청 접수를 마감한다고 공지했다. 1월 27일부터 신청을 접수하기 시작한 해당 이벤트는 UXLINK 보유 인증, 응원글 작성, 태그 추가 등 미션을 달성한 국내 투자자들 중 100명을 추첨해 각각 100 USDT씩 총 10,000 USDT 에어드롭을 진행한다.

어베일 설립자 "체인 추상화, 생태계 파편화 부추겨"
모듈형 블록체인 프로젝트 어베일(AVAIL) 공동설립자 아누라그 아르준(Anurag Arjun)이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현재의 체인 추상화 기술은 암호화폐 생태계를 더욱 파편화하고 있으며, 각 블록체인 레이어마다 고유한 보안 설정이 있어 체인 간 상호운용성을 구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체인 추상화는 이용자가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할 때 복잡한 세부 사항은 숨기고 사용성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체인 추상화와 브릿징을 동시에 구현하려면 비용이 높아짐은 물론 보안 위험성까지 나타날 수 있다. 체인 추상화 솔루션들은 상호운용성을 구축하려는 프로젝트와 유사한 인프라를 만들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병목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ETH 숏 포지션, 지난해 11월 이후 500% 급증
크립토브리핑이 트레이딩 플랫폼 코베이시 레터를 인용, 이더리움(ETH) 숏 포지션이 지난해 11월 이후 500% 이상 급증했다고 밝혔다. 코베이시 레터는 "지난 3일 미국발 무역전쟁이 시작됐다는 언론 보도 이후 이더리움은 60시간 만에 37% 하락했다. 당시 매도세로 인해 암호화폐 시장에서 몇 시간 만에 1조 달러 이상이 증발하기도 헀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다른 암호화폐들이 상승하는 동안 이더리움은 상승하지 않았고, 2021년 11월 사상 최고가 대비 45% 낮은 가격이 형성돼 있다. 최근의 이더리움 숏 포지션 증가에 따라 지난 3일과 같은 변동성은 더 흔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매출 1兆 독주…블록체인 산업은 '뒷걸음'
전자신문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발표한 '2024 블록체인 산업 실태조사' 결과 2023년 가상자산사업자 매출이 전체 블록체인 산업 매출의 약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자산 거래소를 포함한 가상자산사업자 매출은 1조1777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2023년 블록체인이 주력인 기업들의 매출은 직전년도 대비 14.1% 하락했다.

오버프로토콜 설립자 "OVER 시총 $900만 불과"
레이어1 블록체인 노드 경량화 프로젝트 오버프로토콜(OVER) 설립자 벤(Ben)이 X를 통해 "OVER의 총 공급량은 10억 개지만 이중 유통량은 19.7%에 불과하다. 개당 0.045 달러로 환산하면 시가총액은 겨우 900만 달러인 셈이다. 레이어1 블록체인 치고는 놀라울 정도로 적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스캠코인 제안' 받은 카니예 웨스트 X 계정 삭제
미국 래퍼 카니예 웨스트(Kanye West)의 X 계정이 삭제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카니예는 스캠 코인 발행 대가로 200만 달러를 준다는 제안을 받았다고 전한 바 있다.

장현국 넥써쓰 대표 "부산시, 비트코인 전략적 보유 검토해야"
블록체인 전문 매체 비온미디어 심준식 대표가 부산일보에 연재하고 있는 '심준식이 만난 블록체인 히어로즈'를 통해, 위메이드 대표를 역임했던 장현국 넥써쓰 대표가 블록체인 특구 부산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장 대표는 “5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부산에서의 의미 있는 실험은 없었다. 세계적 흐름에 따라 부산시도 비트코인 전략적 보유를 검토하는 등 혁신을 선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대표는 넥써쓰의 청사진도 공개했다. 이달 자체 플랫폼 ‘크로스(CROSS)’에 쓰일 동명의 가상자산 크로스를 발행하고, 3월에는 게임을 플랫폼에 올려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몰디브 대통령 X 계정에 토큰 출시 예고글 게시
몰디브 대통령 모하메드 무이주(Mohamed Muizzu)의 X 계정에 "오늘 9시(현지시간) 솔라나 네트워크에서 MLDVS 토큰을 출시할 예정"이라는 글이 게시됐다. 현재 댓글창은 막혀 있는 상태이며, 해킹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앞서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포스탱아르캉주 투아데라의 X 계정에도 중앙공 밈코인 CAR를 출시했다는 글이 게재된 바 있다.

탄젠트 벤처스 설립자 "대부분 암호화폐 수익, 지속 불가능"
전 스파르탄 캐피털 파트너이자 싱가포르 소재 VC 탄젠트 벤처스 공동설립자인 제이슨 초이(Jason Choi)가 X를 통해 "암호화폐가 벌어들이는 대부분의 수익은 문제 해결보다는 사이클에 베팅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전했다.

USDC 시총 $562억 돌파 '사상 최대'
코인게코 데이터에 따르면 서클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시가총액이 562억 달러를 돌파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현재 USDC 시총은 562억 92만 달러 수준이다.

폭스비즈니스 기자 "美 암호화폐 기업들, 이번 슈퍼볼서 광고 안 한다"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이 X를 통해 "미국 대형 암호화폐 기업들이 이번 슈퍼볼에는 광고를 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슈퍼볼 광고는 주로 인공지능(AI) 기업들이 낼 것"이라고 전했다.

바이낸스, 2/15 QTUM 입출금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하드포크 지원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QTUM 하드포크 및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한국시간 기준 2월 15일 15시 30분부터 QTUM 입출금이 일시 중단된다.

소닉랩스 BD "코인베이스, 베이스 수수료 수익 관리 불투명"
소닉랩스(전 팬텀)의 사업개발 담당으로 알려진 더어시스턴트(@SonicAssistant)가 X를 통해 "코인베이스는 자체 레이어2 네트워크 베이스(Base)를 통해 수수료 수익(ETH)을 얻고 있는데, 그 현황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베이스 시퀀서 수수료 수익률(마진)은 약 90%로 코인베이스는 이를 통해 약 1억 달러 이상 벌어들였다. 해당 수익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통해 코인베이스 거래소로 보내졌는데, 정작 거래소의 ETH 보유량에는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스 출시 전인 지난 2023년 2분기와 2024년 4분기 코인베이스의 ETH 보유량을 비교하면, 고작 772 ETH(200만 달러)만 늘어났다. 베이스 시퀀서 수익은 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얻은 것으로 취득 원가는 0달러에 가깝다"고 강조했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ETH: $4405만(롱 $2983만, 숏 $1422만) 청산 비율: 롱 67.71%
BTC: $3898만(롱 $2858만, 숏 $1040만) 청산 비율: 롱 73.33%
SOL: $1271만(롱 $803만, 숏 $468만) 청산 비율: 롱 63.17%

'BTC 매집 전략' 日 메타플래닛, 1년간 주가 4000% 급등
블룸버그는 비트코인을 주요 자산으로 편입한 일본 상장사 메타플래닛(Metaplanet) 주가가 지난 1년 동안 4,000% 급등했다고 전했다. 매체는 "메타플래닛은 팬데믹 당시 운영 중이던 호텔 대부분 문을 닫게 되면서 비트코인 매집 전략으로 우회했다. 이후 메타플래닛 주주는 50,000명으로 늘었고 이들 중 대부분은 개인 투자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개인 투자자 대부분은 퇴직연금 마련에 특화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를 통해 투자했다. 아울러 메타플래닛은 최근 6년 연속 손실을 기록했는데, 지난해 4분기 실적은 흑자로 전환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모닝 시세브리핑] 비트코인 9만7360달러, 이더리움 2640달러 부근

[미국증시 마감시황] 2025년 2월 10일 월요일

댓글

2

추천

5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SSdc

00:19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천지영웅

2025.02.10 21:41:2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낙뢰도

2025.02.10 17:26:4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