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이 틱톡 인수에 뛰어들었다. 미국 정부는 이를 진지하게 보고 있지 않지만, 시장의 관심은 쏠리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2일(현지시간) 아마존이 틱톡 미국 부문의 인수를 위한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제안서는 매각 절차를 주도하는 J.D. 밴스 부통령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에게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는 아마존을 가장 주목받는 인수 후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미국 정부 내에서는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아마존이 실제 인수보다는 전략적 목적에 가깝다고 분석했다. 인수 의사를 밝히는 것만으로도 경쟁자들의 가격을 끌어올리거나, 틱톡 숍에 대한 정보를 얻는 이점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틱톡 매각 마감일은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인수전에 참여하려는 기업도 늘고 있다.
성인 플랫폼 온리팬스 창업자의 스타트업 ‘주프’는 가상화폐 단체와 손잡고 인수 제안서를 제출했다. 모바일 마케팅 업체 앱러빈도 입찰에 참여한 상태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구단주였던 프랭크 맥코트가 이끄는 컨소시엄도 관심을 보여왔다. 오라클과 블랙스톤은 공동 인수 방안을 검토 중이다.
틱톡은 미국에서 인기가 높지만, 국가안보 우려로 '틱톡 금지법'이 추진돼 왔다. 이 법에 따라 미국 내 사업을 팔지 않으면 서비스가 중단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원래 지난 1월 19일이었던 매각 시한을 5일로 연장했다. 필요할 경우 더 미룰 수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인수를 승인하더라도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와 중국 정부의 동의가 필요하다. 바이트댄스는 인수에 반대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협상에 얼마나 개입하고 있는지도 확실치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중국에 협조하면 관세를 낮출 수 있다며 유화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