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④ 디지털자산 커스터디의 주요 기업과 경쟁 구도

2025.04.03 (목) 08:00

5
8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이 성장하면서 전통 금융기관과 블록체인 기반 기업들이 경쟁하고 있으며, 기관 투자자들은 보안성, 규제 준수, 금융 서비스 확장성을 갖춘 커스터디 업체를 선호하는 추세다.

조진석 저자의 『디지털자산 커스터디의 현재와 미래』 / 사진 = 아이피북스

[편집자주] 디지털자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보관과 보호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기관 투자자는 물론 개인 투자자들 역시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 토큰포스트 북클럽은 조진석 저자의 『디지털자산 커스터디의 현재와 미래』를 기반으로 디지털자산 보관의 핵심 개념과 최신 동향을 분석하는 연재 시리즈를 선보인다. 이번 연재에서는 커스터디 서비스의 개념, 최신 기술 트렌드, 글로벌 규제 변화, 주요 기업들의 전략 등을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디지털자산 시장의 미래를 결정할 커스터디 서비스의 흐름을 놓치지 않도록, 매주 새로운 인사이트를 토큰포스트에서 만나볼 수 있다.

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글로벌 금융기관과 블록체인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이후 기관 투자자들의 디지털자산 보관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 금융권과 크립토 네이티브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전통적인 금융기관들은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 쌓아온 신뢰를 바탕으로 커스터디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업들은 보안성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글로벌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을 선도하는 주요 기업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은 기존 금융권과 블록체인 기반 기업들이 경쟁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있다. 대표적인 글로벌 커스터디 기업으로는 비트고(BitGo), 코인베이스 커스터디(Coinbase Custody), 피델리티 디지털 애셋(Fidelity Digital Assets) 등이 있으며, 각 기업은 보안성, 규제 준수, 기관 대상 서비스 등에서 강점을 보이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비트고는 2013년 설립된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업체로, 다중 서명(Multi-Sig) 보안 기술을 적용해 높은 보안성을 자랑한다. 특히,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커스터디 서비스뿐만 아니라, 거래 및 스테이킹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코인베이스 커스터디는 미국 뉴욕 금융서비스국(NYDFS)의 규제를 준수하는 기관 투자자 전용 커스터디 서비스로, 블랙록과 그레이스케일 등 대형 기관들의 디지털자산 보관을 담당하고 있다. 코인베이스의 강점은 높은 보안성과 함께 다양한 디지털자산을 지원하는 광범위한 서비스 범위다.

피델리티 디지털 애셋은 전통 금융권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사업을 확대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다. 미국 최대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피델리티는 금융기관과의 강력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기관 투자자들에게 최적화된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디지털자산 시장의 제도화에 기여하고 있다.

전통 금융권과 블록체인 기업 간의 경쟁 심화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에서 전통 금융기관과 블록체인 기반 기업들은 서로 다른 강점을 바탕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전통 금융권은 신뢰성과 규제 준수를 내세우며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블록체인 기업들은 기술력과 빠른 시장 적응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골드만삭스, BNY 멜론, 스테이트 스트리트와 같은 대형 금융기관들도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기관 투자자들을 위한 디지털자산 트레이딩 및 커스터디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으며, BNY 멜론은 자체 디지털자산 관리 플랫폼을 구축해 기존 금융자산과 디지털자산을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 블록체인 기반 커스터디 기업들은 보안성과 기술적 차별화를 앞세우며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MPC(Multi-Party Computation) 기술을 활용한 키 보호 솔루션,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자산 관리 기능 등이 주요 차별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전통 금융권에서는 쉽게 구현하기 어려운 기술적 우위를 제공한다.

커스터디 서비스의 차별화 전략 – 보안, 규제, 추가 서비스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에서 기업들은 보안성 강화, 규제 준수, 추가 금융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차별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보안 측면에서는 MPC 기술, 다중 서명(Multi-Sig),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등을 활용한 키 보호 기술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보험 가입을 통한 자산 보호 기능도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규제 준수는 기관 투자자들이 커스터디 업체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SEC, NYDFS, 유럽의 MiCA(암호자산시장규제) 등의 라이선스를 확보한 기업들이 시장에서 신뢰를 얻고 있으며, 특히 미국 시장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은 규제 승인을 필수적으로 요구받고 있다.

추가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는 커스터디 업체들이 단순한 보관 서비스에서 벗어나 스테이킹, 대출, 기관 간 거래 서비스, 온체인 분석 툴 제공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추세다. 예를 들어, 코인베이스 커스터디는 디지털자산을 보관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객들이 보관 중인 자산을 활용해 스테이킹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마무리 –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의 경쟁은 계속된다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전통 금융권과 블록체인 기반 기업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금융권은 규제 준수와 기존 네트워크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업들은 보안 기술과 혁신적인 서비스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향후 커스터디 서비스는 단순한 자산 보관을 넘어 보다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투자자들은 보안성, 규제 준수, 추가 서비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뢰할 수 있는 커스터디 업체를 선택해야 한다.

저자 소개 –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을 선도하는 금융 IT 전문가

이 연재 시리즈의 기반이 된 『디지털자산 커스터디의 현재와 미래』는 KB국민은행에서 28년간 IT 및 금융 혁신을 이끌어 온 조진석 저자의 경험과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한다. 조진석 저자는 인터넷뱅킹, 데이터베이스 관리, IT 아키텍처 설계, 정보보안 등의 다양한 금융 IT 분야를 경험했으며, KB금융지주 IT신기술혁신센터 초대 센터장으로 AI, 머신러닝, 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활용한 금융 혁신을 주도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한 그는 2020년 해시드, 해치랩스와 함께 한국디지털에셋(KODA)을 설립하며 국내 최초의 제도권 커스터디 서비스를 구축했다. 이후 KODA에서 내부 통제 시스템, 자금세탁방지(AML) 체계, IT보안(ISMS) 등을 구축하고, 특금법에 따른 사업자 신고를 완료하며 국내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현재 KODA는 국내 시장 점유율 80%를 차지하며 금융권 수준의 관리 체계를 기반으로 디지털자산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저자는 이를 통해 디지털자산 생태계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 더 깊이 알고 싶다면? 이 글은 『디지털자산 커스터디의 현재와 미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책 구매하기

조진석 저자의 『디지털자산 커스터디의 현재와 미래』 / 아이피북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5

추천

8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5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가즈아리가또

2025.04.03 14:18:2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바다거북이

2025.04.03 14:07:1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04.03 10:08:3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5.04.03 09:39:4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4.03 08:25:13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